하늘에서 온 글, 한글 - 훈민정음의 글자 짓기에 따른 새 한글 지도안
박규현 지음 / 수신제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터넷 유튜브를 보다가, 외국인이 한글을 배우면서 본다는 동영상(https://www.youtube.com/watch?v=K53oCDZPPiw)을 보았다. 대개 모음이 천지인,을 의미한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나머지 자음들까지 여러 의미가 부여되었다는 건 모르겠어서 이 책을 샀다. 내가 이해할 수 없다는 걸 알고 샀지만, 그래도 처음 한글을 익히는 사람을 위해 쓴 책이니, 이해할 만한 대목도 있을 것이다, 기대했는데, 그걸 모두 받아들이기에는 내가 의심이 너무 많다. 

백성을 위해 글자를 만들기로 결심한 우리의 위대한 왕은 자신의 세계관에 비추어 자신의 글자에 역할을 부여하셨다. 세계의 무늬가 이 글자라고 말씀하시면서, 세상을 바라보는 오행을 각각의 자음에 부여한다. 각각의 자음이 가지는, 음양 오행과 모음이 가지는 하늘과 인간과 땅 사이의 조화 가운데, 표음적이고 표의적이기도 한 한글이 생긴다고 말한다. 잠재된 태극(ㅇ)에 사람이 개입하여(ㅣ) 운동이 일어나는(ㄹ) 게 '일'이라고 풀어준다. 그래서 한글은 자질문자라는 새로운 분류에 있다고도 말한다. 

그런데, 그런데, 나는 이미 말은 있었잖아?라고 의심한다. ㄱ이 나무의 기운이 있다고 ㄱ을 만들기 이미 전부터 말을 하고 있었잖아. ㄴ이 불의 기운이 있다고 ㄴ을 만들기 전부터 이미 ㄴ을 소리내고 있었잖아. 부여한 글자의 뜻과 부여한 의미의 값의 연결에 의심을 품는다. 

하늘이라는 대상을 하늘,이라고 쓸 때, 그리고 말할 때, 말과 글은 결국 자연의 무늬라고 말한다. 나는, 그럼 하늘을 스카이라고 하는 것은요? 하늘을 티옌(天)이라고 하는 것은요? 라고 의심한다.  한글이 있기 전부터 하늘,이라고 소리내어 말하고 있었으므로, 그런 파자해가 갖는 것은 결국은 사후적이고, 내가 이걸 그대로 수용하는 것은 무언가 굉장한 특별함을 믿어 의심치 않을 때에만 가능하다. 그래서, 나는 왕의 깊은 사랑까지만, 자신의 글에 부여한 자신의 세계관이라는 데 까지만, 각각의 자음에도 모음의 천, 지, 인 처럼 세상을 부여했다고 받아들이고 덮는다. 한글이 좋은 글자인 건 알고 있지만, 그렇다고, '하늘에서 왔다'고는 이 글자가 '천지 만물의 무늬'라고는 못하지 않겠는가, 하는 것이다. 그래도, 그 마음을 그 좋은 뜻을 통해서 자신의 백성이 어질기를 바랬던 왕의 마음은 받아들일 수도 있다. 그 때와 지금, 한자의 훈음이 얼마나 달라졌는지도, 얼마나 다른 말, 글을 쓰고 있는지도 새삼스럽게 생각한다. 그래서 이대로, 아이들에게 가르치지는 못할 것 같다.  

서구와 달리 동양의 진리 개념은 어떤 실재를 가리키지 않습니다. 유교의 중(中), 불교의 공(空), 도교의 무(無)는 하나같이 이도 저도 아닌 상태라는 부정어법으로 진리를 말합니다. 실체가 아니며 고정되지 않으면서도 작용은 뚜렷하고 우주, 자연, 만물을 싸안고 있는 어떤 장(場)처럼 진리를 정의합니다. 그래서 진리를 찾는 방법도 인위적으로 어떤 애를 쓰기보다 통념, 패러다임, 카르마, 트라우마 등 무엇이라 부르든 감정과 사고에 집착 내지 고착되는 상태에서 벗어나 초연한 관찰자의 입장에 서는 것을 제시합니다. ‘있는 그대로‘가 도라는 것은 이런 태도에 충실할 때 얻어지는 어떤 안목, 관점에 인식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동양에서 진리란 고정된 데이터 값으로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을 언제나 새롭게 보는 태도에서 일어나는 세계와의 동기감응의 체험입니다. - P104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nomad21 2020-03-07 17: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박규현입니다. 책을 읽고 리뷰 남겨주셔 고맙습니다. 여러 의문점들이 있을텐데요, 고맙게도 해례본 자체에서 (그 중 정인서 후서) 별족님이 가진 의문에 자문자답을 하고 있습니다. 여러 사정으로 자세한 해설을 달지 못했습니다. 모자란 부분들을 추려 추가적인 작업을 내놓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