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v.kakao.com/channel/3306874/cliplink/400598324)

'나는 주인공이 싫습니다'로 시작해서 '당신의 평범한 이웃이고 싶습니다'로 마친다. 

묘하게 싫어서, 설명하고 싶다. 

주목받기보다, 나란히 있고 싶다는 말을 하고 싶었던 거겠지만, 내가 좋아하는 얼렁뚱땅 흥신소 끝날 때 나오던 쿠키영상처럼 그 모든 조연들의 패치워크처럼, 모두 자신의 인생이 바빠서 여기 안 나오는 거라는 말이 더 좋다. 

살아가는 중에, 각자의 삶 속에서 모두들 주인공이다. 드러나고 특별해서 주인공인 게 아니라, 자신의 인생에서 자신이 주인공이다. 드라마틱한 무엇이 있거나 없거나, 삶이 단순하거나 복잡하거나, 그저 살아가는 순간순간 내가 집중한 내 자신이 바로 주인공이다. 

게다가 불교적 어원에 대해 말하자면, 나는 마지막 공이 빌 공,이라고까지 생각했다. 주인공이란 어쩌면 나라는 개별자에 대한 것이 아니다. 너와 나의 같은 마음, 그게 주인공,인 거다. 인싸와 같은 의미로 쓰이는 말이 아니다. 보편의 마음, 그게 주인공이다. 

평범한 이웃이고 싶어서, 주인공이 되기 싫다고 말하는 것은, 무언가 너무 소극적이라 싫다.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content_id=cp043316910001)

주인공[主人公]

득도한 인물을 가리키는 말 

사건(事件)이 있고 그 사건으로 이야기가 구성(構成)되는 한 편의 드라마에서 주인공은 언제나 그 사건의 중심에서 이야기를 만들어 나가는 등장인물이다. 주인공이 있음으로써 그 이야기는 흥미진진(興味津津)하고 스릴 넘치는 파노라마를 연출(演出)한다. 그러나 주인공이란 낱말이 속세(俗世)를 벗어나 불교에 오면 아주 재미가 없어진다. 무색(無色) 무미(無味) 무취(無臭)의 진공(眞空)으로 사라져 버린다. 왜냐하면 원래 불교에서 '主人公'이란 낱말을 처음 사용하였을 때에는 득도(得道)한 인물(人物)을 가리키는 말이었기 때문이다. 주인공은 외부환경에 흔들리지 않고 번뇌망상(煩惱妄想)에 흔들리지 않는 참된 자아(自我), 즉 무아(無我)를 누리는 자아를 일컫는 말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