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격당한 자들을 위한 변론
김원영 지음 / 사계절 / 2018년 6월
평점 :
대학에 다닐 때 아빠랑 전교조 이야기를 한 적이 있었다. '가치가 돈으로 평가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당연히 돈 더 달라고도 싸워야 한다'는 내게, 아빠는 '돈으로 교환되지 않는 가치'에 대해 설명하려고 한참을 애쓰셨다. 아무리 노력해도 쉽지 않았던 아빠는 한숨을 쉬셨던가.
그 때의 나는 내가 합리적이라고 생각했는데, 엄마가 되고 보니 조금은 아빠를 이해할 수도 있을 거 같다. 지금의 나는 합리의 언어로는 설명하지 못하는 것들과, 돈으로 교환함으로써 무가치해지는 것들에 대해 조금은 알 수도 있을 거 같다. 아빠처럼 역시 아이에게도 아이 없는 어른에게도 설명하기 힘들어 포기하고 말지만, 알 것도 같다. 법이나 제도, 이전에 마음 속에 있는 것들,에 대해서도 역시 말하지 못하고 말 거라고, 조롱당하고 말 거라고 쉽게 꺼내지 못하는 것들에 대해 생각하는 거다.
이 책을 읽을 때, 나는 합리의 언어로 실존의 문제, 생존의 문제를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한데,라고 생각했다. 내가 아이를 셋이나 낳은 것, 그래서 행복한 걸, 설명하지 못하는 거다. 시스템과 재판과 변론, 자체가 그래서 한심하고, 법을 다루는 사람들은 살면서 결코 만나지 않는 게 최선이다,라고 생각하는 나는, 장애를 가진 변호사가 장애를 가진 아이를 태어나게 했다고 의사를 고소한 사례를 들어 '나의 존재는 실격인가'라고 질문하는 게 가슴 아팠다. 그런 질문을 하게 만들었다는 것 자체가, 한심하다고 생각했다. 존재자체를 의심하게 하는 모든 말들을 이미 하고 있는 그 무례함에 대해 생각하는 거다. 동양에서라면 못 했을 텐데, 이제 서양의 가치와 합리가 들어와서 누군가 '네가 잠깐의 슬픔을 참으면, 부모는 돈이 생기니 할 수도 있다'고도 생각하겠지. 억만금을 준대도 할 수 없어,라던 마음이 조금씩 조금씩, 타협하는 거다. 모욕을 참기로 결심하고 다른 걸 취하기로 하는 가난한 자, 불행한 자, 장애를 가진 자,에 대해 생각한다.
아이가 없을 때였던가, '할 수 있는 게 없다길래 임신 중 기형아 검사는 하지 않았다'고 말하는 직장선배의 말을 들었었다. 그때 속으로 지울 수도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했는데, 임신을 하고 그 선택지라는 것이 얼마나 회색인지 알게 되었다. 살고 죽는 것에 선택이란 얼마나 무서운가.이미 태어난 아이가 이미 뛰고 있는 심장을 두고, 그걸 결정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얼마나 무서운가. 그렇게 유일한 선택지가 지워지고 나니, 검사할 이유가 사라졌다.
이미 존재한다. 이유도 방법도 없다. 그 상태로 살아내야 한다. 존재의 조건들에 저울을 다는 것은 그게 무엇이든 가치가 없다. 이미 존재하니, 살아내는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