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IN 제586호 : 2018.12.11
시사IN 편집국 지음 / 참언론(잡지) / 2018년 11월
평점 :
품절


2004년 6월 주5일제 투쟁을 위해 노조가 대절한 버스를 타고 집회에 갔었다. 기분좋게 소리를 지르고 내려오는 길에 듣는 뉴스들에서 만나는 미움들에 당황했다. 내가 생각한 주 5일제,는 신규고용을 창출할 거라고 '급여삭감없는'은 할 수 있는 최선의 주장을 해야 하니까, 라고 생각한 거였다. 어차피 기업은 자신의 최선의 이익을 주장할 테니, 노동자는 노동자의 최선의 이익을 주장하면서 부딪치는 거라고 생각했었나 보다. 그런데, 기분좋은 투쟁의 현장에서 들리던 소리들은, 티비를 켜면 미움의 말들 뿐이었다. 뉴스들은 '급여삭감없는'에 방점이 찍힌 기득권노조의 투쟁이라고 했다. 현장에서는 결국 '급여삭감은 없었지만' 신규채용도 없었다. 이긴 거라지만, 이긴 건지 알 수가 없는 투쟁이었다. 그 다음 정권을 기업가 마인드의 기업가에게 넘겼던 걸 생각하면, 코 앞에서 이기고 두 세 걸음 쯤 앞에서 고꾸라진 거였는지도 모르겠다. 

광주형 일자리에 대한 노동자의 입장에 지면이 많이 할애되어 있다. 남편과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반대하는 노동조합에 대한 이야기도 나눈다. 

광주형 일자리나, 최저임금,에 대하여 나는 예전처럼 분명한 입장이 되지 못한다. 국경이 가르는 빈부의 격차만큼, 지역이 가르는 빈부의 격차가 분명히 있는데, 울산의 일자리가 광주로 간다고 반대하는 노동조합을 외부자인 나는 어떻게 봐야 할까. 결국 급여수준을 떨어뜨리게 될 거라는데, 지금 급여가 없는 사람이나 지역에서 더 낮은 급여수준으로 기업을 유치하려는 것을 어떻게 봐야 할까. 우호적이라 할 정부를 상대로 이기고, 아예 정권을 내어준다면, 그 싸움은 누구에게 득이 되는 것일까, 생각이 많다. 항상 이길 수 있는 대기업 노동조합의 조합원인 내가, 대체자 없이는 휴가를 낼 수 없다는 협력사 직원과 마주할 때, 내가 무슨 말을 할 수 있을까 싶은 거다. 내가 누리는 안정감이나 복지가 어떤 것 위에 세워졌는지 아는데, 회사랑 둘이 붙어 이긴다 한들, 무슨 소용인 건가, 싶다. 

어렵고 힘든 시기다. 그저 우호적인 언론이 없어서 그런 건가, 어리석고 어리석어서 오해하고 있는 거라고 말할 수 있을까, 역시 모르겠다. 사람들의 태도 가운데, 무언가가 있는 거라고, 노동자일 때 사장의 마음을 헤아릴 필요 없다는 태도는 사장이고 싶은 많은 사람들 가운데 누구도 설득하지 못하는 상황을 만들고 마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