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육가설 - 부모가 자녀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구
주디스 리치 해리스 지음, 최수근 옮김, 황상민 감수 / 이김 / 201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부모가 되기 전에는 알지 못했다. 

뭔가 부모노릇에 관심이나 있었는지 기억도 안 난다. 

그래도, 식당에서 아이가 뛰면 부모를 찾고, 역시 아이들은 좀 귀찮다고도 생각했는지 모르겠다. 

부모가 되어 달리는 차 문을 벌컥 열고 내리려고 한 적이 있다. 아이가 아파서 어린이집을 중간에 나와 병원에 갔다가 오는 길에 탄 택시였다. 목적지가 가까워서 속도를 줄이는데, 그 짧은 길에 아이가 멀미를 할 것 같았다. 차에 멀미를 잔뜩 토하고, 기사 분한테 야단이라도 맞을까봐 그저 속도가 줄었을 뿐인 차의 문을 벌컥 열고, 상상하던 그 이상 욕을 먹었다. 욕을 먹으면서, 내가 왜 그랬을까, 미쳤었네, 그랬다. 아이를 안고 내릴 생각이었지만, 아무리 속도가 줄었대도 멈추지 않은 차였고, 다칠 수도 있었다. 왜 그랬을까. 아픈 아이가 있는데. 


부모도 사람인지라 이야기를 듣는다. 엄마들의 진상짓,이라고 올라오는 인터넷의 글에도, 노키즈 존에 대해 진지하게 말하는 신문의 기사도, 아닌 체 해도 듣고 있다. 아마도 그래서, 일의 선후를 뒤섞고 중한 것과 중하지 않은 것을 헷갈렸다고 내 자신에게 설명했다. 그래도 역시 미친 거였다. 


부모가 되어 저지른 많은 미친 짓에는, 아이를 보기보다 내 또래를 봐서 저지른 일들도 많다. 아이가 원하는 어떤 일을 내가 허용한다면, 아마 사람들은 나보고 미쳤다고 하겠지, 싶은 것들. 여름에 부츠를 신으려고 하는 아이와, 겨울에 두꺼운 옷을 거부하는 아이와 지나치게 싸우고 있을 때 내가 걱정하는 것은 아이가 덥거나 추울까보다, 남들이 나를 뭐라고 할까, 같은 게 앞에 있었다. 아이가 보이는 어떤 모습, 태도가 부모의 평판이 되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그렇다고 평판을 두려워해서는 양육을 즐길 수가 없다. 


저자는 아이를 부모가 빚는 피조물로 대하는 '양육가설'과 여기에서 출발한 수많은 조언들로 양육이 괴로웠던 엄마다. 두 딸을 키우면서 겪는 어려움 가운데, 양육가설이나 조언전문가들이 자신을 얼마나 억압했는지 내내 설명한다. 말 안 듣고, 어울리지 않았으면 하는 아이들과 어울리는 둘째 딸 때문에 속을 썩으면서 자신이 써온 심리학-성인의 온갖 심리적 문제를 아동기 학대에서 원인을 찾는- 교과서들에 반감이 드는 거다. 부모의 역할은 분명히 있지만, 그 한계 또한 분명하다는 어찌보면 당연한 말들이 가득하다. 이민가정, 또래집단, 입양아 등, 기존 양육가설이 반하는 증거들을 어떻게 배제해왔는지 말한다. 기존의 연구들을 반박하면서 또래집단 가운데 자아정체성을 형성하는 아이들에 대해 말한다. 동양의 부모인 나는, 이미 알고 있었다면서 그걸 설명하는데 이렇게 많은 말이 필요하다는 것이 의아하다. 그러면서도 역시 내가, 서양에서 비롯된 양육가설에 휘둘리지 않았다고는 못하겠다. 


인재시교,를 읽은 나는, 서양의 학문이 시간 축을 잘라내고, 누군가를 책임지우기 위해 상황을 단순화시킨다고 삐딱하게 본다. 서양의 학자들처럼 말하지 못하는 나의 추상성을 이제, 다른 식으로도 말한다. 양육가설을 읽으면서 함께 읽은 '심층마음의 연구'덕분에 어쩌면, 동양은 자아를 형성한 다음, 그 자아가 결국 존재하지 않는다는 걸 깨달으며 나아가는데, 서양은 그게 안 되는 건가, 생각도 한다. 첫번째 밑줄은 그런 것이다. 이렇게 분명하게 '"나"의 내면은 변화를 멈췄다'고 단정하는 것에 화들짝 놀랐다. 동양에서는 다음 단계가 있으니까, 내면은 변화하고 성장한다고 믿으니까, 적어도 나의 내면은 스물 다섯보다는 나이들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런 말은 너무 부끄러운 말이 아닌가, 싶고, 설마 서양은 문화에서는 부끄러운 말이 아닌 것인가, 싶기도 한 것이다. 


아이는 내가 어떻게 할 수 없다. 부모인 나는 나와 아이 밖의 말들에 조금은 귀를 닫고 내가 즐길 수 있을 만큼 양육한다. 

열일곱 살에서 스물다섯 살 사이 언젠가부터 "나"의 내면은 변화를 멈췄다. 변화를 멈춘 이유는 아마도 뇌가 완전히 성숙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여자보다 늦게 성숙하는 남자는 조금 더 오래 유연한 채 남을 수 있을 것이다. -p414

하지만 양육이란 섹스가 그렇듯 고생스럽게 여길 일이 아니다. 진화는 우리에게 채찍만이 아니라 당근도 줬다. 자연은 인간이 어떤 일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 그에 걸맞은 기쁨과 만족감을 보상으로 제공한다. 양육이 힘겹고 어렵기만 한 일이라면 침팬지들이 그 일을 견뎌낼 수 있겠는가? 부모란 양육을 즐길 수 있는 존재다. 양육을 즐기고 있지 않는다면 어쩌면 힘에 부칠 정도로 노력하고 있는 건지도 모른다.-p49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