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회 한국과학문학상 수상작품집 - 관내분실 +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 TRS가 돌보고 있습니다 + 마지막 로그 + 라디오 장례식 + 독립의 오단계
김초엽 외 지음 / 허블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양육가설'을 읽고 있다. '그건 부모 탓이 아니다'라는 책을 읽고 있는 와중에 빨리 끝내려고 책을 집었다. 여섯개의 이야기가 있는 단편집인데, 대상작인 '관내분실'과 마지막 실린 '독립의 오단계'가 엄마와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라 생각이 많다.


관내분실,은 미래에는 그럴 수도 있겠다,라는 설정에 놀라기는 했다. 뇌내 기억을 업로드해서 저장한 도서관같은 묘지에 대한 상상, 그럴 듯하다고 생각했다. 그렇지만, 설정을 걷어내면 이야기는 어떠한가. 젊은 여성이 임신을 하고, '자아'를 잃는다. 산후 우울과 겹쳐 자식과 불화하고 불화하던 딸은 임신을 하고서야 죽은 엄마를 찾는다. 업로드된 엄마의 기억을 찾지 못하자 엄마에게 '엄마'의 것으로 정렬하려고 한다. 죽은 엄마의 기억을 찾을 수 있던 '엄마의 자아'가 결부된 물건은 엄마가 엄마가 되기 전 디자인한 책,이다. 죽은 엄마의 기억과 마주한 딸이 엄마를 이해한다,고 말하고 맺는 이야기다. 

독립의 오단계,는 한 줌 남은 뇌조각에도 안드로이드를 결합하여 살아가는 미래세계에 대한 이야기다. 인간과 같은 형상을 한 안드로이드의 권리에 대한 이야기는 억압하는 엄마를 '마녀'라고 부르는 아들의 독립투쟁을 얼개로 갖는다. 


그러니까, 엄마인 나는, 실려있는 여섯개의 이야기 중에 두 개의 이야기에서, 엄마에 대한 묘사를 보고 불편해한다. 엄마는 엄마가 되면서 자아를 잃게 되고, 여성은 임신하면서 그걸 감당해야 하고, 그제서야 겨우 엄마를 이해하게 되고, 또 자식은 엄마에게 독립하기 위해 자기 자신을 죽여야 하는 이야기를 보는 거다. 상상속의 엄마들, 상상 속의 부모자식관계, 나쁜 면을 극대화한 이야기 속의 상황. 뇌가 남았다고 내가 남았다고 볼 수 있나, 생각하는-예전에 요재지이에서 못생긴 부인의 머리를 미인의 머리로 바꾸는 이야기가 그러니까, 정체성이나 자아가 뇌에 있다는 서양과 가슴에 있다는 동양의 차이- 동양인인 나는, '자아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까지 생각하는 나는, '마녀'라고 불릴 만큼 자식에 집착하는 어린 마음,이나 '자아를 잃는다'고 생각하는 그러니까 '자아'라는 게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어린 마음 들이 상상해놓은 세계를 부정하며 보는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