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허한 십자가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선희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방황하는 칼날]에서 소년범의 갱생에 대한 이슈를 던졌던 작가는 [편지]에서는 범죄자의 가족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견에 대해서 이야기 했다. `미미여사`라는 별명을 가진 미야베미유키처럼 본격적인 사회파 작가는 아니지만 히가시노게이고도 사회적인 문제에 대한 언급을 피하지 않는 작가이다. 그의 신작(?) [공허한 십자가]는 그런 사회파 소설의 계보를 잇는 작품이다.

게이고가 이번에 건드린 문제는 `범죄자의 참회`에 대한 내용이다. 그와 함께 가장 민감한 문제일 수 있는 사형제도에 대한 논쟁도 포함시키고 있다. 전혀 만날 수 없을 것 같은 사람들의 인생이 십자가의 한 점 처럼 만나는 순간 벌어진 사건. 그 사건의 진상을 추적해 나가면서 제기하는 사회적인 이슈에 대한 생각. 과연 범죄자의 참회란 믿을 수 있는 것인가? 사형제도는 용납할 수 있는가? 사형을 당해야 하는 범죄자가 사형을 면하고 오랜시간 참회를 한 후 출소하여 다시 사람을 죽였다면 그를 사형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희생이 된 피해자의 삶은 누가 보상하는가? 남겨진 피해자 가족이 평생 안고 가야할 아픔은 누구의 잘못인가? 인간은 참회할 수 있는가?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소설이지만 게이고 특유의 필력으로 몰입감이 대단하다. 쉽게, 재미있게 읽으면서도 생각을 깊게 할 수 있는 소설이다. 전혀 연결 될 것 같지 않은 삶들을 엮어내는 그의 재주가 부러울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