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환화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54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민경욱 옮김 / 비채 / 201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은 거부하기 어려운 유혹이다. 이 소설도 역시나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다. 게이고가 어려워 한다는 역사를 소재로 했고, 사회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는 소설이다 보니 추리소설의 매력은 다소 떨어지고, 반전의 묘미도 떨어지긴 하지만 이야기 자체가 재미있고, 그 이야기를 풀어가는 게이고의 필력이 단점을 없애버린다. 익숙했던 게이고가 아니라 다소 낯설지만 매력적인 게이고의 모습이다.


  소설의 소재는 '노란 나팔꽃'이다. 옛날에는 있었지만 지금은 사라진 노란 나팧꽃을 피우는데 성공한 노인이 죽임을 당하면서 사건이 시작도니다. 살인사건을 추적하는 형사가 있고, 살인사건 보다는 노인이 피운 노란 나팔꽃을 추적하는 집단이 있고, 할아버지의 죽음에 숨겨진 비밀을 찾아나서는 손녀가 나오고, 형과 아버지에게서 소외감을 느끼며 그들이 감춰왔던 비밀을 풀고 싶어하는 대학원생이 나온다. 그들이 얽히고 설킨 관계를 형성하며 사건이 진행되고, 각각의 추적에서 작은 단서들이 발견된다. 서로 경계하면서도 정보를 공유하면서 사건의 실체가 서서히 드러나고 '노란 나팔꽃'에 숨겨진 진실이 드러난다.


  소설은 일본의 에도시대-우리나라로 치면 조선말-에 존재했던 노란 나팔꽃을 소재로 한다. 작가는 왜 지금은 노란 나팔꽃이 존재하지 않을까?라는 의문에서 시작해서 이 소설을 썼다고 한다. 장장 10년이 넘는 시간이 걸려서 힘들게 완성한 소설이라고 한다. 그 10년 동안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났기에 주인공의 전공을 바꾸면서 새로 썼다고 한다. 노란 나팔꽃을 지금의 원자력과 연결시키는 발상은 신선하다. 사라진 노란 나팔꽃을 일본이 없애기로 한 원자력으로 대체하면서 읽으면 작가가 소설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세지가 명확해 진다. 책의 말미에서 주인공들의 대화에서 나오는 대사에 담긴 메시지. '세상에는 빚이라는 유산도 있다'


  실제로 노란 나팔꽃이 있는지, 노란 나팔꽃에 그런 부작용이 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자신들에 의해 일어난 잘못을 되돌리기 위해 대를 이어가며 속죄하는 주인공들의 모습은 감동적이다. 작가가 하고 싶은 말도 이것이 아닐까? 당장 그 순간의 사죄가 아니라 끝없이 사죄하고 끝없이 노력하는 자세. 그것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것이 아닐까? 그리고 그에 앞서 스스로에게 부끄럽지 않고 타인에게 당당할 수 있는 삶을 살아가는 것. 그것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것은 아닐까? 선조들의 잘못을 그들의 탓으로 돌리지 않고 후손들을 위해 스스로 책임지는 모습. 작가는 그것을 바라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게이고가 친한파인지, 반한파인지는 모른다. 다만 이 소설이 일본의 정치인들에게 꼭 읽혔으면 하는 바램이 있다. 그들은 사죄는 커녕 인정도 하지 않는다. 그들의 억지가 일본 국민들의 일반적인 정서와는 다르다는 희망을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