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풍경
박범신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간이 정체되어 있는 듯 흐르는 소도시 '소소'에 사는 옛 제자가 자신이 살던 집터에서 시멘트로 된 데스마스크가 발견되었다는 전화를 한다. 주인공은 작가 '나'는 전화에 영감을 받아 제자 'ㄱ'이 살고 있는 소도시 '소소'로 간다. 거기서 전해들은 이야기로 소설을 쓴다.

  소설은 한 남자와 두 여자의 이야기이다. 이름도 없이 그저 'ㄱ', 'ㄴ', 'ㄷ'으로 불리는 이들의 이야기. 혼자사는 'ㄱ'의 집에 남자 'ㄴ'이 찾아들고 또 다시 여자 'ㄷ'이 찾아들면서 세사람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ㄱ과 ㄴ이 하나가 되기도 하고, ㄴ과 ㄷ이 하나가 되기도 하고, ㄱ과 ㄷ이 하나가 되기도 하고, 세 사람이 함께 하나가 되기도 하는 관계의 이야기. 하나가 되기는 하나 서로의 상처는 건드리지 않는 관계. 어설픈 위로나 섣부른 치유를 시도하지 않는 관계. 서로에 대해 알려하지 않고 서로에게 구속되지 않는 관계. 세상의 통념을 깨고, 서로에게 파고들지 않으면서도 완전히 하나로 뭉쳐지는 관계. 유난히도 눈이 많았던 그 겨울에 세 사람이 만들어 간 '허락되지 않지만 서로에게 허락한' 시간들의 기록. 다소 불편하고 이해가 되지 않는 세 사람의 관계에 눈살을 찌뿌리면서도 이상하게 그들의 관계가 이해되려고 하는 감정의 모순을 느끼게 된다면 작가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작가는 이름이라는 선입견에 휘둘리지 않기 위해 'ㄱ, ㄴ, ㄷ'을 주인공으로 내세웠다고 한다. 그러니 그들의 관계도 세상이 가지고 있는 도덕이라는 잣대, 사랑의 독점이라는 잣대, 욕망이라는 잣대를 가지고 이해할 수 없다. 그런 잣대를 들이대면 이 소설은 말도 안되는 지저분한 에로소설에 지나지 않는다. 설마 '박범신'이라는 이름을 가진 작가가 그런 소설을 쓰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작가는 무엇을 말하고 싶었는가? 전작인 '소금'에서도 가족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나는 아버지의 모습을 그렸듯이 이 소설에서도 세상에서 존재할 수 없는, 소유와 욕망이 사라진 완전한 합일. 서로의 상처를 굳이 드러내지 않고, 들여다 보지 않으면서도 서로에게 완벽하게 이해될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는 관계를 보여주는 것은 아닐까? 한 가족의 가장의 입장에서 전작 '소금'의 아버지를 이해할 수 없으면서 이해할 수 있었던 모순을 겪었는데, 이 소설에서는 상처를 가진 한 사람의 인간으로써 비슷한 모순을 느낀다. 작가의 의도일까?


  쉽게 읽히지 않을 수 있다. 거부감에 책을 던질 수도 있다. 그러나 서서히 빠져드는 자신을 발견하면 손을 놓을 수 없이 빠져드는 소설이다. 추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