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자의 길, 이성계와 이방원 ㅣ 이덕일의 역사특강 2
이덕일 지음, 권태균 사진 / 옥당(북커스베르겐) / 2014년 4월
평점 :
우리나라에서 '아버지'라는 자리는 범접할 수 없는 존재감을 가지고 있다. 지금은 많이 달라졌다고 하나 가부장적 사회의 잔재로 아버지에게 대든다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일이다. 그런데 조선시대에 아버지에게 칼을 겨눈 사람이 있다. 그것도 개국시조인 아버지에게 칼을 겨눈 태종이다. 개국시조인 태조 이성계에게 칼을 겨누고 아버지의 왕위를 무력을 차지한 태종 이방원. 유교를 공부하고 과거에 까지 합격했으며 스스로 유학자임을 자부했던 이방원이 '효'라는 유교의 최고 덕목을 버려가면서까지 왕위에 나아갔던 이유는 무엇인가? 권력에 대한 집착인가, 아니면 새로운 왕조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나? 수없이 많이 다루어진 이 주제에 대해 이 책은 어떤 결론을 내리고 있는가?
이 책은 KBS의 대하드라마 '정도전'의 제작진들을 위해 역사학자 이덕일 선생이 강의한 내용을 책으로 정리한 것이다. 이미 [정도전과 그의 시대]라는 책으로 1권이 나왔고 이 책은 그 후속작이라고 할 수 있다. 정도전과 이성계가 주도한 조선 개국에 이어 이방원에 의해 벌어진 1차, 2차 왕자의 난과 아들에게 권력을 빼앗긴 이성계의 복수가 벌어지는 조선 초기의 혼란상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꼭 챙겨보는 드라마인 '정도전'도 이제 조선 건국을 지나 이성계와 이방원의 대립으로 흘러가는 시점이라 이 책은 시의적절한 선택이었다. 비록 이성계와 이방원의 대립을 중점으로 다루고 있지만 그들의 대립이 조선의 개국과정에서 벌어진 '정몽주 피살'에서 촉발되었기에 이 책은 고려말의 상황부터 다루고 있다. 다만 [정도전과 그의 시대]가 고려말 사회의 혼란과 누구도 막지 못했던 권력형 비리들, 그 과정에서 고통받는 백성들과 그들의 삶에서 혁명을 꿈꾸는 정도전의 사상에 중점을 두었다면 이 책의 고려말 부분은 혁명의 과정 자체에 중점을 두면서 그 과정에서 빚어지기 시작하는 이성계와 이방원의 대립에 촛점을 맞추고 있다. 개국 후 이성계가 왜 무리한 세자책봉을 해야만 했는지, 그 세자책봉이 이방원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왔는지, 결국 이방원의 선택은 어떤 생각의 흐름을 따라 진행되었는지에 대한 저자의 깊이있는 해설을 들을 수 있다. 또한 일반인 수준인 제작진에게 한 강의이기 때문에 역사를 많이 알지 못한다 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설명들로 채워져 있다. 그래서 역사를 만나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책이다. 누구에게나 추천해도 좋을 교양역사서이다.
나름의 역사관에서 바라 본 나는 이방원의 행동이 단순한 권력욕의 소산으로 보지 않는다. 물론 정도전이 꿈꾸던 '왕이 군림하되 지배하지 아니하는 세상'도 좋을 수 있었다고 생각하지만 왕조 국가에서 그가 꿈꾼 세상은 이상일 수 밖에 없다는 한계도 인정한다. 따라서 이방원이 정도전을 죽이고 '현명한 왕이 군림하여 지배하는 강력한 국가'를 만들어간 과정에 더 큰 점수를 주고 싶다. 비록 세조의 '계유정난' 이후 이방원이 생각했던 나라가 없어지고 말았지만 그의 선택은 나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물론 역사의 판단은 각자의 몫이다. 이 책은 그런 판단에 하나의 기준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