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밤중의 베이커리 1 한밤중의 베이커리 1
오누마 노리코 지음, 김윤수 옮김 / 은행나무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영업시간은 오후 11시에서 오전 5시. 사람좋은 주인과 까칠한 꽃미남 제빵사가 운영하는 빵가게. '블랑제리 구레바야시'는 야간에만 문을 여는 빵집이다. 그곳엔 맛있는 빵이 있고 어디선가 본 듯한 상처입은 사람들이 모이고 그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따뜻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실제로 있을 수 없는 곳임을 알면서도 꼭 한 번은 가보고 싶은 빵가게. 그곳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빵가게 주인은 구레바야시. 언제나 사람좋은 미소를 띠고 저항할 수 없는 부드러운 카리스마와 사람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따뜻한 눈빛을 가진 사람이다. 제빵사 히로키는 구레바야시의 아내인 미와코를 짝사랑하다 그녀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한 때의 연적(?)과 함께 빵을 만든다. 두명이 운영하는 빵가게에 죽은 미와코의 이복동생이라고 주장하는 노조미가 찾아든다. 자신을 돌보지 않는 뻐꾸기 같은 엄마를 둔 상처투성이 사춘기 소녀. 얼떨결에 함께 살게되는 빵가게에 여러 인간군상이 모여든다. 노조미처럼 엄마의 보살핌을 받지 못하는 소년 고다마, 고다마의 엄마인 오리에, 짝사랑의 상처로 혼자 살아가는 은둔형 외톨이이자 방송작가인 마다라메, 세상에서 인정해 주지 않는 소수자의 삶을 살아가는 여장남자 소피아. 모두들 하나씩 상처를 간직한 이들이 모여들면서 빵가게 구레바야시는 따뜻한 이야기들로 채워지게 된다.

 

 소설은 쉽게 다루기 어려운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부모의 방치와 학대로 고통받는 아이들, 부모의 과도한 기대가 미치는 악영향, 은둔형 외톨이와 관음증, 성적 소수자의 문제 등 쉽게 어떤 결론을 내기가 어려운 주제를 다루고 있다. 그래서인지 소설은 인물들의 사연에 담긴 문제의식에 집중하지 않고 그들의 사연에 방점을 찍는다. 사회의 심각한 문제도 결국은 사람의 문제라는 주제의식이 담겨있다. 사회의 시각에서 보면 하나씩 문제를 가진 비정상적인 삶을 살아가는 이들이지만 그들의 사연에 방점을 찍으면 그들도 우리와 다르지 않음을 깨닫게 된다. 사회의 편견과 잘못된 선입견이 어떤 문제를 만들어내는가에 대한 사례들이다. 그들도 우리와 똑같은 사람이라고 말하면서 문제에 대한 나름의 해결책도 제시한다. 문제있는 사람들이 모여서 서로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문제라고 생각했던 것들은 전혀 문제가 아님을 소설에서 보여주고 있다. 결국 모든 문제의 해결은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고 타인의 시선으로 그들의 문제를 바라보는 것에서 시작한다. 자신의 시선과 자신의 가치관으로 타인의 모습을 제단하려는 시도에서 모든 문제가 시작된다고 말하고 있다. 누구나 알고 있지만 쉽게 시도하지 못하는 해결책을 소설로 보여주면서 다시한번 생각하게 만든다.

 

 어려운 주제의식을 가지고 있지만 문장의 무게는 가볍고 각각의 에피소드들은 따뜻하다. 히로키와 노조미가 아웅다웅 다투는 모습에서는 미소가 배어나고 그 모습을 느긋하게 바라보다 능청스럽게 던지는 구레바야시의 대사는 따뜻하다. 어떤 상황을 만나서도 당황하지 않고 따뜻함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구레바야시의 모습에서 오쿠다히데오의 [공중그네]에 나오는 의사 이라부를 보는 것 같은 감상이 들었다. 시종일관 따뜻함을 놓치지 않는 소설이다. 그래서 읽는 내내 가슴 한 켠에 따뜻한 훈풍이 불어오는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소설이다. 재미와 이야기와 따뜻함과 감동을 적절히 배합하여 멋지게 구워낸 맛있는 빵 같은 소설이다. 서늘한 가을 바람이 불어오는 계절에 딱! 어울리는 소설이다. 강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