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풍당당 - 성석제 장편소설
성석제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4월
평점 :
어딘지 정확히 알 수 없는 어느 강마을에 사람들이 있다.
세상에서 여러가지 이유로 상처받고 버림받은 사람들이 모여사는 강마을.
강 건너에는 조선시대 사원이 현대적인 거짓으로 복원되어 버티고 있고
그들이 사는 강마을의 정체도 드라마 촬영 후 버려진 세트장이다.
세상에서 받은 상처를 서로 보듬으며 치유하겨 평화롭게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
어느날 그 마을에 '전국구 꽃미남 조직폭력배'들이 쳐들어 온다.
사건의 발단은 아주 사소한 것이었으나 이제 강마을을 지키기 위한 치열한 싸움이 시작된다.
성석제의 소설은 [인간적이다] 하나만 읽었기에 작가에 대해 잘 모른다.
그러나 내가 [인간적이다]에서 받은 인상은 명성이 다소 과장되었다는 느낌이었다.
작가의 이름은 귀에 익었고 작가에 대한 찬사도 여러번 접했으나 내 느낌은 달랐다.
[인간적이다]는 소설의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나에게는 전혀 소설로 느껴지지 않았다.
그 실망감이 성석제라는 작가에 대한 실망감으로 번져서 그의 소설을 선택하는데 고민했다.
이 소설은 신문에서도 평이 좋았고 인터넷 서점의 서평들도 호평일색이어서 선택했다.
결론은 여전히 난 그에 대한 평가에 다소간의 거품이 있다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는 것이다.
물론 이 소설 자체만 두고 보았을 때 성석제라는 작가의 능력에 대해서는 인정한다.
서로 다른 상처로 아픈 가슴을 서로가 보듬으며 새로운 형태의 가족으로 태어난 강마을 사람들.
세상에서 버림받았다고 느껴지기 보다는 스스로 세상을 버린 그들에게 강마을은 유토피아이다.
그들이 원하는 삶을 그들의 방식으로 살아가는 그들만의 유토피아에 폭력이 침범한다.
예전의 그들이었다면 폭력이 무서워 도망가고 말았겠지만 이제 그들은 위풍당당하게 맞서 싸운다.
자신에게 소중한 것을 지키기 위해, 세상에 버림받은 그들을 품어 준 새로운 가족을 위해.
강마을과 조폭의 싸움은 일반적인 예상과는 다른 반전을 보여주고 한바탕 야단법석을 치른다.
객관적인 전력에서 밀리는 집단이 강한 상대를 제압하는 전복이 주는 카타르시스는 예견된 내용이다.
현실과는 거리가 먼 이야기라고 치부할 수 있지만 난 그 안에서 우리가 사는 세상을 본다.
지금의 우리 사회는 서로가 보듬어주는 곳이 아니라 하나라도 배척해야 되는 세상이 되어 버렸다.
피부색이 다른다고 배척하고 아파트 평수가 다르다고 배척하고 자신과 다른다고 배척한다.
강마을 사람들의 상처는 그 크기에 차이는 있을지언정 우리 모두가 지금의 사회에서 받는 상처들이다.
한편 꽃미남 조폭들이 상징하는 것은 표리부동의 폭력성을 가진 권력의 속성이다.
겉으로는 친절한 척하면서 속으로는 '나는 니들과 다르다'는 특권의식과 우월의식에 사로잡힌 사람들.
그들이 행사하는 무자비한 폭력앞에 상처받은 이들의 저항의 모습이 한바탕 소동으로 그려진다.
자칫 심각할 수도 있는 이야기는 전혀 심각하지 않게 만들어 옛이야기 하듯 풀어내는 작가의 능력.
세상의 찬사가 가리키는 것은 성석제라는 작가의 그런 능력의 탁월함이 아니었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불만인 것은 소설을 읽는 내낸 단 한번도 폭소를 터뜨리지 못했다는 것이다.
신문이나 인터넷 서평에서는 시종일관 폭소를 참을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음에도 말이다.
그렇다고 내가 웃기기 힘든 인간도 아니다. 난 여러 소설을 배꼽빠지게 읽은 기억이 넘쳐나는 사람이다.
박상 작가의 [말이 되냐?] 같은 경우는 눈물을 빼고 웃었고 난 절대로 웃음에 인색하지 않다.
그런데 이 소설은 결코 폭소를 유발하지 않는다. 지속적인 웃음을 유발하기는 하지만 소소할 뿐이다.
작가의 유머감각과 위트가 뛰어나고 문장 하나 하나에 고스란히 드러나는 유머감각이 탁월하지만
상황이 주는 폭소나 문장이 주는 폭소는 없다. 한마디로 정리하면 마케팅을 위한 과장이었다.
물론 개인적인 유머감각과 맞지 않는 괴리감 때문일지도 모르지만 적어도 광고만큼 대단하지는 않다.
조근조근 전하는 옛이야기 같은 소설속에 결코 쉽지 않은 주제의식을 담은 소설이다.
이야기의 강렬함 보다는 이야기가 전하는 여운이 오랫동안 남는 따스한 웃음이 있는 소설이다. 추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