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티브 잡스 첫 청소년 전기 : Think Different ㅣ 청소년 뉴리더 시리즈 1
카렌 블루멘탈 지음, 권오열 옮김 / 서울문화사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무려 900 페이지가 넘는 크고 두꺼운 무기 수준의 전기를 읽었다.
그런데 또 다시 잡스의 이야기를 선택한 것은 아들에게 주기 위함이었다.
비난은 할 수 없어도 부인할 수는 없는 우리 시대의 아이콘 스티브 잡스이기 때문이다.
특히 컴퓨터로 밥을 벌어 먹고 사는 나는 그가 만든 세상의 가장 큰 수혜자이기도 하다.
내가 이 책에서 바란 건 잡스의 이야기 중에서 아들에게 도움이 될 것을 가려주는 것이었다.
그의 개인적인 삶과 이상한 성격에 대한 부분은 최소한으로 줄이고(물론 다 빼는 건 반대)
그가 가졌던 일에 대한 열정과 애플의 제품들을 통해서 담고자 했던 철학을 알려주고 싶었다.
스스로 애플빠라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잡스의 열렬한 지지자로써 아들에게 알려주고 싶었다.
결과적으로 다소 아쉬움이 남지만 대체로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들을 잘 정리해 준 것 같다.
잡스의 개인적인 삶은 나의 관점에서 전혀 이해할 수 없고 알려주고 싶지도 않다.
그러나 그가 일을 대하는 방식과 일에 대해 미치는 열정을 꼭 아들에게 전해주고 싶었다.
흔히들 '현실왜곡장'이라고 말하는 잡스의 무모하리만큼 어이없는 추진력을 통해서
아들에게 '안돼!'라는 말 보다는 '할 수 있어!'라는 강한 동력을 가르쳐 주고 싶었다.
모두가 개방형으로 변해가는 컴퓨터 산업의 세계에서 끝까지 폐쇄형을 고집한 잡스.
그가 고집했던 페쇄성의 이유와 그런 제품들을 통해 전하고자 했던 철학을 알려주고 싶었다.
고집불통에 타인을 배려하지 않으며 독선적이고 독단적인 독재자의 모습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사람들이 스스로 그런 독재에 따르도록 만드는 그의 강한 리더쉽을 알려주고 싶었다.
한 분야에서도 어려운 혁신은 여러 분야에서 가능하게 한 그의 힘과 열정과 꿈을 알려주고 싶었다.
이 책이 그런 부분으 제대로 다루고 있었다고 생각한다. 아들에게 권하기에 충분한 책이다.
그런데 아쉽다. 성인들을 위한 900 페이지짜리 전기와 다른 바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물론 내용을 5분의 1정도로 줄였고 필요없는 잔가지들을 쳐내기는 했지만 그게 다였다.
컴퓨터 용어들을 쉽게 설명한 것도 아니고 청소년을 위한 특별한 안내가 있는 것도 아니다.
특히나 잡스가 개인용 컴퓨터를 만들 당시의 용어들은 전공자인 나도 모르는게 많은데
그런 용어들에 대한 설명이 없으니 아이들이 쉽게 읽을 수는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내용도 아이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은데 왜 청소년 전기일까?라는 생각이다.
그저 내용을 간소화한 잡스 전기의 새로운 버전이라고 하는게 맞지 않을까?
미국에서도 이걸 청소년 전기라고 부르는지, 작가가 청소년을 위해서 썼는지 궁금해진다.
그저 청소년 책을 많이 쓴 작가의 전기라고 출판사가 마케팅으로 사용한 용어가 아닐까?
진실이 궁금해 진다. 내 생각에 이건 절대로 청소년용으로 쓴 전기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