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를 산책시키는 남자 - 2012년 제8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전민식 지음 / 은행나무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한번쯤은 좌절과 실패를 할 수 있다. 하루아침에 인생의 바닥으로 떨어지기도 한다.

그 인생의 바닥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발버둥을 치지만 그렇게 쉬운 것이 인생은 아니다.

소설이나 영화처럼 쉽게 벗어날 수 있다면 그것은 진실로 인생의 바닥은 아닐 것이다.

언제나 만족감을 주었던 세계문학상 수상작들은 인생에 대한 이야기가 들어 있어 좋다.

올해 세계문학상 수상작은 [개를 산책시키는 남자]라는 처절한 제목을 가지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남자'가 '개'를 산책시킨다는 것이 결코 좋은 의미를 가질 수 없기에

나는 이 책의 제목을 보는 순간 그가 처한 상황의 절박함과 처절함을 느꼈다.

 

주인공 도랑은 잘나가나는 컨설턴트였지만 사랑하는 여인의 배신으로 나락으로 떨어진다.

그가 사랑했던 여인이 스파이였다는 것이 드러났지만 그는 사랑을 위해 모든 죄를 뒤집어쓴다.

그러나 그렇게 순정(?)을 바친 여인은 홀연 자취를 감추고 그에게 남은 것은 삶의 나락이었다.

인생의 바닥에서 탈출하기 위해서 사회의 가장 밑바닥을 전전하는 그의 직업 중 하나가 '개산책'이다.

참으로 아이러니하게 어쩌다보니 개보다 못한 인생을 살게 된 그에게 인생은 수많은 시련을 던진다.

그러던 어느날 그에게 운명처럼 다가온 '라마'라는 이름의 강남 아파트 값을 가진 개와의 인연.

'개'에 의해 선택된 '남자'가 개를 통해 인생의 바닥에서 벗어나려는 몸부림을 치지만 쉽지는 않다.

 

설마 실제로 개를 산책시키는 일로 돈을 버는 사람이 있을까? 의문을 가지지만 실제로 있다고 한다.

하기야 어느 순간부터 우리 사회는 사람보다 고급으로 취급받는 개들이 판치는 세상이 되지 않았나?

제목에서 느낀 처절함은 사회의 바닥층을 형성하면서 개보다 못한 취급을 받는 사람들에 대한 분노와

나 역시도 개 보다 못한 대접을 받을 수 있다는 경악할 만한 사실에 대한 깨달음이 합쳐진 결과일것이다.

빈부 격차의 심화와 사회의 이상한 변화가 가져온 현 상황에 강한 거부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도랑은 '라마'와의 운명적인 만남으로 인생의 바닥에서 벗어날 수 있는 희망을 보게 된다.

그러면서 인생의 바닥에서 만났던 사람들과의 인연을 부담스럽게 느끼기 시작한다.

인생의 바닥에서 자신과 동질감을 느꼈던 사람들이 바닥을 빠져나오는 빛이 보이면서 레벨이 다르게 느껴진다.

도랑의 모습을 비난할 수 있을까? 누구나 자신의 위치에 대한 인식이 타인에 대한 차별로 나타나게 되지 않는가?

흔히들 재벌이 사람을 무시하는 것에 분노하지만 그들의 입장에서는 타인의 분노가 이해되지 않을 수도 있다.

스스로에게 물어보라.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타인에 대한 차별로 뵤시한 적이 단 한번도 없는가?

지금도 우리 사회에서 차별받는 피부색이 다른 사람들만 봐도 세상은 참으로 잔인하지 않은가?

 

인생의 밑바닥에서 빠져나오기 위한 도랑의 처절한 몸부림에도 불구하고 빠져나오는 것은 쉽지 않다.

세상의 이치를 가르친다는 수많은 서적들이 성실함을 무기로 절망에서 빠져 나올 수 있다고 역설하지만

실제로 우리가 사는 인생이란 영화나 드라마처럼 쉽지 않다는 것을 나이를 들어가면서 깨닫게 된다.

소설에서 가장 마음에 들었던 부분은 도랑이 쉽게 인생의 바닥에서 빠져 나오지 못한다는 부분이다.

그것은 역설적으로 지금의 현실이기 때문이다. 영화나 드라마의 장미빛 환상에 빠지지 않은 것이 가장 큰 미덕이다.

 

결국 작가는 누군가에게 선택받는 인생과 스스로 선택한 인생 사이에서의 고민을 그리고 있다.

'라마'라는 개에게 선택되어 인생의 바닥에서 빠져 나오려 하던 도랑의 시도가 실패하고

자신의 버렸던 여인에 의해 다시 한번 선택되어 새로운 희망을 볼 수도 있는 기회를 버리고

인생의 바닥에서 만난 인연들과 새롭게 자신이 선택한 인생을 살아가게 되는 결말은 이 소설의 주제이다.

인생을 살다보면 누군가에서 선택받을 수 있고 그 선택이 찬란한 미래를 열어 줄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인생은 자신을 선택한 누군가의 변심(?)으로 하루 아침에 다시 나락으로 떨어질 수도 있다.

물론 그 선택을 기회로 자신의 인생을 살아갈 수도 있겠지만 누군가에게 의지한 삶이란 언제나 불안하다.

소설 속 도랑이 나락에서 빠져나갈 희망을 보면서도 일말의 불안함을 버리지 못하는 모습에서 잘 나타난다.

결국 인생이란 자신의 선택과 그 선택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에 불과할지도 모르겠다.

도랑의 추락도 자신의 선택이기 때문에 그 나락에서 빠져나가는 것도 그의 선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누군가의 선택으로 나락에서 빠져 나온다면 언젠가는 다시 나락으로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불안하기 때문이다.

 

난 문학에 대해 알지 못하기 때문에 이 소설의 문학적인 부분은 평가할 수 없다.

다만 작가가 풀어내는 이야기가 나에게 다가오는 느낌에 따라 평가가 달라질 수 밖에 없다.

그런 관점에서 바라보면 난 이 소설이 정말 마음에 든다. 시종일관 가슴속에 따스함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도랑의 삶이 찌질하고 빛이 없는 나락에 빠져 있는 순간에도 그의 가슴에 남아있는 따스함이 보이기 때문이다.

어쩌면 20년 가까이 무명으로 지냈다는 작가의 자전적 반영이 도랑이라는 캐릭터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래서 이 작가에 대한 신뢰가 생겼다. 심사위원들의 선택으로 시작된 그의 세계가 계속 발전하길 기대한다. 강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