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명량 1 - 기적의 서막 ㅣ 명량 1
박은우 지음 / 고즈넉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박은우 작가의 이순신 3부작 중에 두번째 이야기 [명량]이다.
첫번째 이야기인 [전쟁의 늪]은 정유재란 이후 이순신 암살시도를 다루고 있다.
이순신의 암살시도를 무산시킨 비변사 비밀낭청 장호준을 주인공으로 한 전작에서
전쟁의 그늘에 숨어서 전쟁의 양상을 바꾸었던 치열한 첩보전을 그렸던 작가가
그 후속편에서 이순신 장군의 가장 드라마틱한 승리인 '명량해전'을 그리고 있다.
단 12척의 배로 수백배에 달하는 왜군의 수군을 물리친 세계 해전사 최고의 전투.
그 기적과 같은 승리를 만들기 위해 어떤 사람들이 얼마나 치열하게 투쟁해야 했는가?
아무런 덧붙임 없이도 그대로 드라마가 되는 해전을 어떻게 소설로 만들었을까?
소설은 이순신이 왜군의 계략에 빠져 죽을 고비를 넘기고 백의종군하는 장면에서 시작된다.
그 시대의 정치적 상황과 옹졸한 왕 선조와 당쟁에 빠진 지도층에 대한 비판은 거의 없다.
작가는 시대와 정치에 방점을 두지 않았다. 전쟁과 전쟁에 휘말린 민초의 삶에 방점을 둔다.
백의종군을 하는 가운데 이순신이 키워놓은 수군은 칠전량에서 단 한번에 전멸해 버리고
부랴부랴 다시 통제사로 임명된 이순신은 흩어진 군심과 민심을 모으기 위해 남도를 돌아다닌다.
그러나 전편에 이어 이순신의 목숨을 노리는 일본의 시도는 계속 이어지게 되고
요인 암살의 최고라는 '까마귀부대'가 그의 목숨을 노리며 집요한 추격전을 전개한다.
끊임없이 목숨을 노리는 일본군의 추격을 피하며 흩어진 병력을 모아 마지막 승부를 준비하는 그들.
세계 해전사에 유례가 없는 기적의 승리를 준비해 나가는 사람들의 치열한 삶이 소설로 부활한다.
이 소설의 가장 큰 매력은 '명량'을 버렸다는 것에 있다.
어릴 때 부터 수없이 들어왔고 수많은 소설과 영화로 재탕되었던 익숙한 텍스트 '명량'
작가는 익숙한 텍스트에 차별화를 두려하지 않고 그 텍스트 자체를 버려버렸다.
소설에서 '명량해전'이 차지하는 부분은 마지막 20여 페이지에 살짝 그려져 있을 뿐이다.
대신에 작가는 익숙한 텍스트를 대체할 내용으로 익숙하지 않는 사람들을 집어 넣었다.
전편에서 자신을 버려 이순신을 지켰던 비밀낭청 장호준이 이제 호군의 신분으로 이순신의 곁을 지키고
이순신과 함께 생사를 같이 하였으나 칠전량의 패전으로 패장의 멍에를 써야 했던 수군 장수들이 등장하고
이순신의 목숨을 노리며 집요한 추격전을 펼치는 일본 최고의 암살집단 '까마귀 부대'가 적으로 나타난다.
거기에 정체를 알 수 없는 준사라는 캐릭터의 등장은 소설적 재미를 더욱 증가시켜 준다.
명량이라는 익숙한 텍스트를 버리고 선택한 수많은 다른 이야기들이 기존의 이야기들과 다른 명량을 만들어 낸다.
이 소설을 영화화를 기본 전제로 하여 쓰여진 소설이라고 한다.
이미 전작의 경우 영화화가 진행되어 캐스팅이 하나씩 추측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
우리가 열광했던 [반지의 제왕] 3부작을 떠올리면 우리는 왜 그런 텍스트가 없었을까? 부러웠던 기억이 난다.
그런데 우리에게도 세계 전쟁사에 가장 위대했던 인물이 있고 기적이라고 할 수 밖에 없는 승리의 기록이 있었다.
[반지의 제왕]이 그리고 있는 상상의 세계 중간계에서 일어나는 일이 아니라 실제 우리 역사에 있었던 전설의 기록.
그 기록을 이제나마 소설로 다시 살려내고 영화로 생명력을 불어 넣겠다고 하는 시도 자체에 박수를 보낸다.
물론 이 소설의 영화화가 [반지의 제왕]과는 다른 모습이겠지만 '이순신 3부작'에 대한 나의 기대는 크다.
이제 소설은 마지막 이야기인 '노량'을 향해 나아가게 될 것이다. 그러나 그대로 '노량'의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이순신 3부작'이라고 하지만 이 소설의 주인공은 이순신이 아니기 때문이다.
장호준으로 대표되는 이름없는 영웅들, 전쟁의 흐름을 바꾼 묻혀진 사람들이 이야기가 중심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위대한 역사에 숨겨져 있었을 지도 모르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너무도 매력적이다. 강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