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근영은 위험해 ㅣ 회사 3부작
임성순 지음 / 은행나무 / 2012년 1월
평점 :
품절
작가의 전작인 [컨설턴트]를 재미있게 읽었기에 궁금했다.
도발적인 제목의 유혹에 호기심이 극에 달해 안 읽을 수 없는 소설이었다.
정말 말도 안되게 황당하고 '키치적'이라는 말로도 용납이 안되는 소설인데
그 속에서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것은 어렴풋이 느낄 수 있고 재미도 있다.
전작과 다른 의미에서 작가의 능력을 확실히 느낄 수 있었던 소설이다.
소설에는 두가지 이야기가 전개된다.
작가 자신을 주인공으로 하여 [컨설턴트]의 회사가 나오는 이야기가 하나,
성순,혜영,승희라는 여자이름을 가진 남자주인공 3명이 펼치는 황당한 이야기 하나.
[컨설턴트]에서 개인의 목적을 위해 청부살인을 하는 집단으로 묘사된 회사는
이 소설의 3인방의 이야기에서 인류말살이라는 거대하고 황당한 음모를 꾸민다.
소설의 이야기의 확대가 회사의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소설 속 작가 혹은 회사의 의도대로 너무 황당한 성장은 신뢰성을 떨어뜨린다.
나 역시 [컨설턴트]를 읽고 회사가 실제로 존재할 수 있을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는데
이 소설을 읽고난 후 회사라는 것이 결국 실재할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을 고쳐 먹었다.
어쩌면 소설의 의도가 이것이 아닐까? 독자는 소설 속 작가 혹은 회사의 노림수에 넘어간걸까?
'키치적'이라는 말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통속 취미에 영합하는 예술 작품'이라고 한다.
이 소설은 통속 취미 중에서도 가장 저급한 B급 음모론과 오덕후 문화를 소재로 사용한다.
거기에 인터넷에서 난무하고 있는 온갖 신조어들과 나꼼수에서 나온 수많은 의혹들,
인터넷 세상에서 한 때 유행했거나 지금도 유행하고 있는 일반인들은 알 수 없는 그들만의 언어,
지금 우리 사회의 가장 저급한 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B급 문화의 결정체를 이루고 있다.
그러니 이 소설은 '키치적'이면서도 그 중에서 가장 저급하게 '키치적'인 소설이다.
나름 인터넷에 익숙하다는 내가 보기에도 다소 거북한 느낌이 드는 부분이 많으니
인터넷과 친하지 않은 독자가 읽는다면 그 문화적 충격을 견뎌낼 수 있을지는 장담할 수 없다.
작가는 소설을 '하이브리드'로 만들고 싶다고 했다.
온갖 하이퍼링크가 난무하고 참고 동영상과 짤방들로 가득차 있는 그런 소설.
그러나 지면이라는 제약으로 인해 그의 의도는 수많은 주석으로 노랗게 반짝거리는 것으로 만족한다.
그래서 소설의 내용보다 주석의 내용이 더 많은 신기한 소설이 되어 버렸다.
아이러니하게도 소설의 내용보다 더 재미있는 주옥같은 주석들도 상당히 많다.
주석을 이렇게 열심히 읽었던 소설은 처음이다. 주석이 주가 되어버린 주객전도의 소설이다.
그나 저나 주석에서 말하고 있는 수많은 B급 음모론이 혹시 사실은 아닐까?
형식의 파괴가 불러온 파격보다 소설이 전하는 메시지가 중요하다.
작가는 인터넷의 저급한 B급 문화를 통해 무분별한 소비지향의 현대 사회를 비판하고 있다.
생각은 없고 검색만 있는 지금의 지식과 문화라는 것은 이 소설과 같은 황당함과 허무함이 남을 뿐이다.
어느 때 보다 지식이 넘쳐나는 세상에서 자아를 잃지 않고 주체성을 확립하면 살아 남는 것.
어쩌면 그것이 지금의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일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적당히 포기하고 사는 건 아닌지...
인터넷 B급 저급문화의 문화적 충격을 감당한 각오를 하고 이 소설을 접한다면
인류 멸망이라는 황당한 소설적 설정이 전하고자 하는 허무함을 이기는 방법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추천 !!!
P.S : [컨설턴트]를 읽지 않은 독자가 [컨설턴트]를 읽고 싶게 만드는 걸 보면 이 소설은 두꺼운 전단지일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