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정은 바에 있다 스스키노 탐정 시리즈 1
아즈마 나오미 지음, 현정수 옮김 / 포레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히가시노 게이고로 대표되는 일본 추리소설을 즐겨 읽는다.

그런데 최근 북카페에서 떠오르는 추리소설이 있어서 관심이 갔다.

[탐정은 바에 있다]라는 다소 황당한 제목의 추리소설. 과연 어떤 소설일까?

 

책을 다 읽고 난 지금의 느낌은 전체적으로 어지럽다는 것이다.

사건이 복잡해서 어지러운 것이라면 내 둔한 머리를 탓하겠지만

이 소설의 어지러움은 뭔가 정리되지 않은 이야기 속에 있다.

추리소설의 공식대로 사건과 탐정의 추격에 중점을 두지 않고 있기 때문일까?

기존의 추리소설과 다른 추리소설을 쓰고 싶다는 생각이 너무 강하다는 느낌이다.

형사가 아닌 아마추어 탐정. 그것도 뒷골목 유흥가 건달같은 삶을 살아가는 탐정.

제목 그대로 바(Bar)를 주무대로 삼고 유흥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사건을 풀어가는 탐정.

기존의 추리소설을 틀을 깨려고 노력한 모습이 보이고 그 모습이 성공적이었다고 해도

사건에 촛점을 맞추지 못하고 유흥가에서 살아가는 인간군상의 모습에 촛점을 맞추다보니

이야기가 중심을 잡지 못하고 이리저리 흔들려서 뭔가 어지러운 느낌만 남아 버렸다.

거기에는 한번에 내용이 파악되지 않아 여러번 다시 읽어야 했던 번역의 아쉬움도 한 몫 했고

소설의 내용처럼 어지럽게 이중 삼중으로 번지게 인쇄된 페이지가 여러장 있다는 것도 한 몫 했다.

개인의 취향에 따라 많이 달라지겠지만 지금의 내 느낌은 그리 후한 점수를 줄 수 없다.

 

그렇다고 소설이 재미 없는 것은 아니다.

일단 탐정의 캐릭터가 개인적을 꽤나 마음에 드는 캐릭터이다.

세상에 대해 무관심한 척 하면서도 세상일에 발을 담그고 살아가는 모습.

여자에 대해서도 인생에 대해서도 일관되게 보여지는 겉으로만 시크한 척 하는 모습과

그러면서도 숨길 수 없이 문득 드러나게 되는 따뜻한 심성을 가진 매력적인 캐릭터다.

중간 중간 혼자서 상상하는 장면이나 툭 던지는 독백속에 유머가 담겨 있는 모습도 좋았다.

시대적 배경인 80년대 인기 게임이 나와 나 역시 그 시절의 기억으로 돌아갈 수 있어서 좋았다.

다만 일본 소설의 한계라서 일본의 80년대 분위기를 공유할 수 없음은 어쩔 수 없는 아쉬움이다.

 

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좋지만 다소 어지러운 전개와 정돈되지 않는 번역이 많이 아쉬운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