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리엣 1 - 관 속에서 만난 연인
앤 포티어 지음, 서현정 옮김 / 노블마인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윌리엄 세익스피어는 세계적인 대문호임에도 여전히 불가사의하다.

그의 존재 자체에 대한 의문이 여전히 가끔씩 제기되고 있고

그의 수많은 명작들도 순수한 창작이 아니라는 주장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 소설은 그의 가장 유명한 걸작 [로미오와 줄리엣]에 대한 변주이다.

이야기의 배경이 베로나가 아니라 시에나였으며 아름답고 가슴아픈 사랑의 이면에

지저분하고 추악한 욕망이 있다는 상상을 바탕으로 한다.

 

어릴 때 부터 이유없이 [로미오와 줄리엣]에 빠져 살면서

언젠가 자신도 자신의 어머니의 나이가 되면 죽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살아가는 줄리.

그녀를 돌봐주던 할머니의 죽음과 함께 그녀가 실제 줄리엣의 후손이라는 말을 듣게 된다.

세익스피어의 소설에 나오는 줄리엣이 아니라 그 이전에 존재한 실제 줄리엣의 후손.

자신의 부모님의 죽음도 자신을 옭아매고 있는 집안의 역사와 저주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

충격적인 사실을 받아든 줄리는 자신의 운명을 알아내기 위해 이탈리아로 향하게 된다.

 

소설은 크게 두가지 이야기를 축으로 이끌어져 간다.

1340년 시에나에서 벌어진 팔리오 축제를 배경으로 실제 로미오와 줄리엣의 이야기가 하나이다.

시에나를 양분하고 있던 살림베니와 톨로메이 가문의 희생양이 된 줄리에타와

시에나를 지키는 명예로운 집안의 자유분방한 아들 로미오의 운명적이고 비극적인 사랑이야기.

또 하나는 600여년의 시간을 뛰어넘어 똑같은 이름을 가지게 된 두명의 연인이

시에나를 배경으로 만들어내는 열정적이며 때로는 위험한 사랑의 이야기가 그것이다.

두개의 이야기가 하나의 쌍을 이루듯 대비를 이루어 이어진다.

1340년의 사랑이 한 챕터를 이루면 현대의 이야기가 다음 챕터를 이루는 형식의 구성이다.

꽤나 흥미롭고 600년의 시간을 거스르는 구성에 다음 이야기에 대한 호기심을 높히는 구성이다.

 

1340년의 이야기가 현대의 이야기를 풀어가는 하나의 단서로 사용된다는 것도 흥미롭다.

중세의 이야기가 사랑과 증오, 배신과 복수에 대한 서사시 같은 이야기라면

현대의 이야기는 중세의 전설을 바탕으로 펼쳐지는 한편의 액션영화 같은 이야기이다.

중세의 사랑이 현대의 사랑에 매개체가 되고 두 연인이 위험에 빠지는 원인이 되기도 하고

결국엔 모든 것을 제자리에 돌려 놓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나란히 병행되어 나아가던 이야기가 마지막에 가서는 서로 맞물려 돌아가면서 재미를 배가시킨다.

 

중세 귀족 사회의 화려함과 그들이 대립이 치밀한 계략과 함께 그려진다.

줄리에타와 로미오의 비극을 위한 준비인 듯 두 가문의 대립에 얽히게 되는 또 다른 가문의 이야기.

중세의 시대적 분위기를 거스르고 운명의 사랑을 만나려는 연인의 안타까운 비극을 풀어가는 과정에서

마치 중세에 직접 살아본 것 처럼 그 시대의 화려함을 묘사하는 작가의 필력이 대단하다.

지금의 시선으로 봤을 때 답답할 수 밖에 없는 그 시대의 사회적 분위기도 생생하게 그려진다.

작가가 얼마나 많은 공부를 했는지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생생한 묘사이다.

 

익숙한 세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 보다 이 소설의 이야기가 더 재미있었다.

지금의 사람들의 취향에 더 맞는다고 해야할까? 아무튼 소설속 이야기가 더 좋았다.

헐리웃에서 영화로 만들어 지고 있다니 기대가 된다. 언제나 실망이긴 했지만...

세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은 멋진 소설이다.

다만 가끔씩 보이는 오탈자는 옥의 티가 되겠지만... 강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