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을 범하다 - 서늘하고 매혹적인 우리 고전 다시 읽기
이정원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춘향전]이라는 고전소설을 보면 무엇이 떠오르는가? [심청전]은? [수궁가]는? 이미 어릴때부터 '전래동화'라는 이름으로 우리에게 너무나도 친숙해진 우리의 고전들은 모두 하나의 주제의식을 가지고 있다. [춘향전]은 목숨을 바친 사랑과 믿음을, [심청전]은 유교 최고의 가치라고 하는 '효'를, [수궁가]는 지혜로운 토끼와 어리석은 거북이를 통해 위기를 벗어나는 지혜를 주제로 삼고 있다. 그리고 몇몇 예외적인 고전들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고전들이 '권선징악'이라는 하나의 거대한 계몽사상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다. 그렇게 우리는 고전이라는 이름을 통해 박제되고 틀에 박힌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어린시절부터 세뇌를 당하고 있다. 한번도 고전에 대한 그런 해석에 의문을 갖지 않았고 실제로 고전의 원전이 어떠한지 관심조차 가지지 않았다. 춘향전의 원본을 읽어보려 한 적이 있는가? 홍길동전이나 심청전은? 우리가 너무나 친숙하게 생각하는 고전들에 대해 우리가 아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이 책은 총 13개의 고전소설들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해석을 보여준다. '장화홍련전'을 통해 계모의 처지와 계모의 행동에 원인을 제공하는 그 시대의 사회상을 고발한다. '심청전'을 통해 아비를 위해 죽는 것이 '효'라는 윤리고 강요되는 집단살인의 모습을 찾아낸다. '수궁가'를 통해서는 지금의 우리 사회에서도 없어지지 않는 '나는 너와 다르다', 혹은 '너는 우리와 다르다'라는 '타자화'의 모습을 찾아낸다. 고리타분한 이야기로 책장의 구석에 박제되어버린 고전에 새로운 해석과 시각을 부여함으로써 고전이 전하는 의미가 현대 사회에서도 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박제된 고전이 생생이 우리곁으로 다가올 수 있도록 새로운 해석을 더하는 작업. 그 작업의 결과가 이 책이다. 작년에 큰 인기를 끌었던 영화 [방자전]의 매력과 일맥상통하는 매력이 있는 책이다.

  고등학교 시절 도서부 활동을 하면서 우연히 완판본 '춘향전'을 접할 기회가 있었다. 그 당시에는 국어과목에 '고문'이라는 부분이 있었고 난 공부도 할 겸 고어사전을 뒤져가며 열심히 읽었다. 그런데 읽으면 읽을수록 이건 내가 아는 춘향전이 아니었다. 이도령과 춘향이 만나는 장면부터 방자가 춘향을 대하는 모습에 충격이었고 현대의 포르노 소설을 능가하는 이도령과 춘향의 애정신에 아찔했다. 책에서 순화되고 탈색되고 보기좋게 각색된 춘향전이 아닌 원본 춘향전을 읽은 후 난 춘향을 열녀로 인정할 수 없었다. 그 때의 충격은 지금도 기억에 남아있다. 이 책에 소개되는 고전들도 우리가 알고있던 고전들의 모습들과는 완전히 다르다. 이 책을 읽고나면 여기에 소개된 고전들의 원본을 찾아읽고 싶어진다. 특히나 심청의 죽음을 둘러싼 마을 사람들의 태도나 옥에 갇힌 춘향을 희롱하는 맹인 점쟁이의 모습은 얼마나 우리가 우리 고전에 무지한지를 알게 해준다. 과연 나는 춘향전을, 홍길동전을, 심청전을 알고 있는 것일까?

  중간 중간에 개인적인 감상으로 봤을 때 다소 억지스럽다는 해석이 존재한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한번 쯤 읽어볼 만 하다. 우리가 알고 있는 고전의 진짜 속살을 엿볼 수 있는 기회가 그리 흔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추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