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군 이야기 1 시오노 나나미의 십자군 이야기 1
시오노 나나미 지음, 송태욱 옮김, 차용구 감수 / 문학동네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로 유명한 작가 시오노 나나미. 한국사, 특히 조선의 역사에는 누구보다 관심이 많은 나이지만 세계사와 세계의 역사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전혀 없는 문외한이다. 그녀의 그 유명한 작품인 [로마인 이야기]조차 읽지 않은 나에게 [십자군 이야기]는 선택하기 쉽지 않은 책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읽고 싶었던 이유는 궁금했기 때문이다. 무거운 갑옷과 긴 창, 흰 바탕에 그려진 커다란 십자가로 대표되는 십자군의 이야기가 궁금했다. 유럽의 귀족들이 왜 너나 없이 머나먼 오리엔트로까지 원정을 가서 목숨을 걸고 싸워야 했는지, 그들의 여정은 어떠했으며 어떻게 승리 혹은 패배를 당했는지 알고 싶었다. 이 책에서 기대했던 건 내가 모르는 세계사에 대한 이해를 높히는 첫걸음이 되기를 원했고 기독교에 부정적인 나에게 남은 십자군에 대한 선입견을 한 꺼플 벗겨내고 싶었다.  

  '카노사의 굴욕'으로 알려진 사건이 교황의 승리로 끝나고 교황의 권위를 최고로 올려놓은 사건이라 알고 있었는데 그 후의 이야기는 오히려 교황쪽이 몰리고 있었다니 신기했다. 십자군이라는 것이 최고로 올라간 교황의 권위로 인해 시작된 것이 아니라 몰릴대로 몰린 교황이 불리한 상황을 벗어나기 위한 최후의 선택 중에 하나였다는 것은 내가 몰랐던 사실이다. '신이 그것을 원하신다'는 한 마디가 커대한 전쟁의 씨앗이 되었다는 것은 그 시대의 상황을 비추어 볼 때 어쩌면 당연할지도 모르겠다. 이미 움베르트 에코의 [장미의 이름] 등의 문학작품으로 알려진 중세의 상황은 신이 인간의 일상까지 관장하는 것이었고 교황의 한 마디는 거부할 수 없는 메시지였을 것이다. 거기에 장자가 모든 것을 상속받는 그 시대 귀족사회에서 차남들의 선택권이 없었다는 것은 유럽의 귀족들을 오리엔트로 몰고 간 동력이 되었을 것이고 이미 더이상 현실에서 버틸 수 없었던 서민들이 신의 이름을 빙자해 동방으로 떠난 것도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을 것이다. 다만 우리가 알고 있고 대부분의 기독교들이 믿고 싶어하는 것 처럼 십자군이 신의 뜻만을 따라 움직인 신의 군대는 아니었다는 것은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이다. 귀족들은 새로운 영지에 대한 욕망이 있었고 서민들은 신의 이름을 빙자해 현실에서 도피하고자 하는 욕망이 있었던 것이다. 교황에게 조차도 자신의 입지를 바꾸고자하는 열망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이었다. 교황의 욕망이 기획하고 귀족들의 욕망이 살을 붙여나가서 결국 신의 이름을 빌어 인간의 욕망을 풀어내고자 했던 사건. 그것이 십자군 전쟁의 숨어있는 진실임을 작가가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1차 십자군 전쟁의 영웅들, 보에몬드, 보두에, 고두프루아, 탄크레디 등의 영웅담이 그려지는 부분은 역사서라고 할 수 없을 정도의 박진감이 느껴진다. 마치 전쟁소설을 읽는 기분이다. 십자군의 동기가 종교적인 것임을 전혀 알 수 없었던 이슬람 교도들의 당연한 패배, 이슬람 끼리의 분열로 야기된 처참한 패배 등. 십자군의 활약도 있었지만 상대의 방심이 더욱 컸던 1차 십자군 전쟁의 결과는 성지 예루살렘의 회복과 십자군 국가의 형성으로 완성된다. 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기나긴 여정을 따라가다 보면 결국 모든 것이 인간의 욕심들이 어지럽게 엮이면서 하나의 결과로 이루어짐을 깨닫는다. 영지를 향한 귀족들과 기사들의 욕심, 성지를 차지하려는 종교적인 욕심, 조금이라도 자신에게 이익이 되고자 하는 이슬람 지도자들의 욕심들이 서로 얽히고 설키면서 하나의 역사로 기록되는 과정을 보면 인간 사회의 본질은 이런 욕심들의 결과이고 그것이 사회의 발전 혹은 퇴보로 역사에 기록됨을 알게 된다. 저자가 십자군의 이야기를 통해서 하고자하는 이야기도 결국은 인간의 욕망에 대한 이야기가 아닐까? 

  나처럼 세계사와 십자군에 대해서 전혀 모르는 문외한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이미 그런 부분에 대해 관심이 있고 많이 알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이 책은 전쟁을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을 이야기하는 책이기 때문이다. 추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