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잉 메시지 - 지구와 인류를 살리려는 동물들의
개와 돼지 외 지음 / 수선재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북카페에서 서평이벤트를 하는 경우 대부분 좋은 책들이 많다.
그래서 대부분의 경우 서평이 좋은 방향으로 쓰이게 되어 있다.
그런데 가끔은 이 책처럼 개인적으로 마음에 들지 않는 책들도 있다.
그런 경우 난 고민은 한다. 어떤 식으로 서평을 써서 올려야 하나?
개인적인 감상을 배제한 채 책의 장점만 부각해야 할 것인가?
아니면 내 느낌 그대로 써서 책을 선택하는 사람에게 참고가 되게 할 것인가?
언제나 고민하지만 언제나 나의 선택은 같다. 최대한 솔직하게 쓰자.
내 스스로 구입한 책이 아니라 출판사에서 받은 책이니 표현은 최대한 순화해서.

이 책의 장점
이 책은 모두가 인식하고 있지만 아무도 실천하지 않는 지구 환경에 대한 이야기이다.
명상을 통해 지구상에 살고 있는 동물들의 정령들과 대화를 통해 그들의 이야기를 실었다.
그들이 말하는 지구의 환경은 우리의 인식보다 훨씬 심각하고 위태로운 상황이다.
그들이 말하는 인간의 모습은 오만하고 이기적이고 사악하기까지 한 모습이다.
그런 모습을 강력하게 부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스스로에게 부끄러워진다.
인식하는 것과 실천하는 것은 다르고 이제는 실천을 시작해야 할 때라고 말하는 책.
어렵고 복잡한 일이 아닌 생활속의 작은 실천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메세지.

이 책의 단점
우선 이 책은 어떤 의도로 기획되었는지 의심하게 만드는 부분이 많다.
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려는 의도라고 하지만 읽는 내내 명상에 대한 설교에 가깝다.
기획의도가 환경인지 자신들이 빠져있는 명상에 대한 전도인지 확인할 수 없다.
난 어떤 종교도 믿지 않는 사람이기에 그들의 이런 식의 태도는 강한 반감을 가지게 한다.
세상 사람들은 누구나 좋아하는 것을 알릴 수 있지만 이런 식의 속임수(?)는 마음에 들지 않는다.

이 책에서 지적하는 대안이라는 것도 도대체 말이 되지 않는 것들이다.
지구를 지키기 위해 개발을 중단하라는 말은 누구나 할 수 있는 말이다. 그렇지만 대안은?
지금의 문명화된 사회에서 어떻게 개발을 중단하고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인가?
이 책의 대안들은 개발과 보존의 중간적 합의를 끌어내기 보다는 오로지 개발 반대에 매여있다.
이런 식의 주장은 누가 못하겠는가? 현실성 없는 대안은 그저 지껄임에 불과하다.

인간은 육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주장 또한 기가 막히고 코가 막힐 뿐이다.
이론적으로 그럴지 몰라도 이미 인간은 잡식성 동물이 되어 버렸다. 
채식이 좋다는 것은 대부분 인식하고 있지만 인간은 고기를 먹어야 한다는 것이 정설이다.
인간의 먹는다는 행위는 그저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인간에게는 먹는다는 행위가 즐거움을 위한 욕구 충족의 의미도 있는 것이다.
채식이 좋다고, 자기들이 그렇게 산다고 다른 사람들을 싸잡아 비난하느 식의 말은 말이 아니다.
불쾌하고 기분 나쁘다. 그들이 무슨 권리로 나에게 이런 불쾌감을 주는가?

책을 보내 준 출판사에 대한 도의적인 책임에서 할 말은 아니지만
이런 식의 책은 나오지 않는 것이 더 낫겠다는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