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대 야구부의 영광
이재익 지음 / 황소북스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그저 한편의 야구소설로 알았다. 워낙에 야구를 좋아하니 이유없이 끌렸다.
서울대라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는 사람들이 전하는 야구가 궁금했다.
그런데 다 읽고 나니 이 소설은 단순한 야구소설이 아니다.
언제나 성공만을 경험했던 최고의 엘리트 집단의 실패 이야기이다.
그러면서 동시에 우리가 말하는 '성공'의 의미를 다시 묻는 소설이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을 떠나서 재미와 감동과 눈물과 웃음이 섞인 멋진 소설이다.
서울대에 야구부가 있다는 것은 야구팬이면 누구나 알고 있다.
그들은 어릴때부터 선수로 키워져 온 사람들이 아니라 야구가 좋아서 하는 사람들이다.
그러니 일반적인 대학교 선수들과의 시합에서 그들이 이기기란 불가능한 사건이다.
그런 그들이 단 한번 이겼을 때 신문의 한쪽면에서 그들의 이야기를 읽은 기억이 난다.
언제나 엘리트였고 승리만은 경험했던 그들이 지독한 패배를 거듭하며 야구를 하는 이유.
그 이유가 궁금했는데 이 소설에는 실제 서울대 야구부들도 인정할 정도의 리얼리티가 있다.
서울대 졸업 후 잘나가던 주인공이 한 순간의 실수로 낙오되어 그 시절을 회상하는 형태이다.
스스로가 현실적이 선택으로 안전한 선택만을 했다고 생각했던 주인공이 바라보는 성공.
그 성공의 기준에서 절대적으로 부족한 야구부 선배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간다.
서울대 야구부원들의 캐릭터들이 살아있고 야구가 좋아 야구에 미치는 그들의 열정이 살아있다.
세상의 시선에서 바라보는 성공과는 다르게 자신만의 기준에서 성공한 한 사람의 이야기.
그의 삶을 바라보면서 나 역시 성공의 기준을 잘못보고 있는 것이 아니었나?라는 생각을 한다.
감독이 주인공에서 던진 한마디. '자기가 던지고 싶은 공을 던져야 투수 아이가?' 라는 말.
그 한마디에 이 소설이 전하는 메세지가 함축되어 있다. 나는 지금 내가 원하는 공을 던지고 있는가?
야구팬의 한 사람으로써 30년의 한국 프로야구의 역사를 더듬는 이야기들을 추가했다고 한다.
나 보다 몇살 어린 작가의 나이이기에 그의 기억은 나의 추억들과 괘를 같이 하고 있다.
그래서 그가 이야기하는 영웅들 - 박철순, 최동원, 선동렬, 박정태 등-은 나의 영웅들이고
그가 전하는 故김상진의 이야기는 나의 가슴에도 눈물을 흘리게 한다. 해태팬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프로야 역사에서 길이 남을 수많은 명승부들 중에서 끌어낸 이야기들도 새록새록 기억을 자극한다.
야구팬이라면 이 소설에 열광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정말 멋진 소설이다.
한 남자의 우직한 걸음을 끝까지 지켜보는 한 여자의 순정에 눈물이 난다.
긴 세월, 자신에게 눈길조차 허락하지 않는 남자를 기다리는 여자의 심정을 남자인 내가 공감할 수 없다.
그러면서도 끝까지 남자를 지키는 그녀의 사랑이 한없이 부러워지는것은 어쩔 수 없다.
그녀의 발목을 붙잡는 무뚝뚝한 말. '가시나, 보고싶었다'라는 남자의 말에 담긴 애정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그 두사람의 사랑이 한없이 부럽고 한없이 이쁘고 한없이 행복하게 느껴저서 나 또한 웃음이 났다.
게다가 그 결말이 해피엔딩이었으니 얼마나 좋은가? 역시 난 해피엔딩이 좋다.
야구라는 소설의 소재로 인해 딱딱할 수 있는 분위기를 희정의 사랑이 부드럽게 만들어 준다.
그녀의 사랑에 눈물을 흘릴 여성 독자가 상당히 많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
야구가 소재에 그치지 않고 야구를 통해 인생과 성공의 의미를 이끌어내는 소설.
거기다 재미와 웃음과 눈물이 공존하는 이런 멋진 소설을 만난 것은 나에게 행운이었다. 강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