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야구부의 영광
이재익 지음 / 황소북스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그저 한편의 야구소설로 알았다. 워낙에 야구를 좋아하니 이유없이 끌렸다.
서울대라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는 사람들이 전하는 야구가 궁금했다.
그런데 다 읽고 나니 이 소설은 단순한 야구소설이 아니다. 
언제나 성공만을 경험했던 최고의 엘리트 집단의 실패 이야기이다.
그러면서 동시에 우리가 말하는 '성공'의 의미를 다시 묻는 소설이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을 떠나서 재미와 감동과 눈물과 웃음이 섞인 멋진 소설이다.

서울대에 야구부가 있다는 것은 야구팬이면 누구나 알고 있다.
그들은 어릴때부터 선수로 키워져 온 사람들이 아니라 야구가 좋아서 하는 사람들이다.
그러니 일반적인 대학교 선수들과의 시합에서 그들이 이기기란 불가능한 사건이다.
그런 그들이 단 한번 이겼을 때 신문의 한쪽면에서 그들의 이야기를 읽은 기억이 난다.
언제나 엘리트였고 승리만은 경험했던 그들이 지독한 패배를 거듭하며 야구를 하는 이유.
그 이유가 궁금했는데 이 소설에는 실제 서울대 야구부들도 인정할 정도의 리얼리티가 있다.
서울대 졸업 후 잘나가던 주인공이 한 순간의 실수로 낙오되어 그 시절을 회상하는 형태이다.
스스로가 현실적이 선택으로 안전한 선택만을 했다고 생각했던 주인공이 바라보는 성공.
그 성공의 기준에서 절대적으로 부족한 야구부 선배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간다.
서울대 야구부원들의 캐릭터들이 살아있고 야구가 좋아 야구에 미치는 그들의 열정이 살아있다.
세상의 시선에서 바라보는 성공과는 다르게 자신만의 기준에서 성공한 한 사람의 이야기.
그의 삶을 바라보면서 나 역시 성공의 기준을 잘못보고 있는 것이 아니었나?라는 생각을 한다.
감독이 주인공에서 던진 한마디. '자기가 던지고 싶은 공을 던져야 투수 아이가?' 라는 말.
그 한마디에 이 소설이 전하는 메세지가 함축되어 있다.  나는 지금 내가 원하는 공을 던지고 있는가?

야구팬의 한 사람으로써 30년의 한국 프로야구의 역사를 더듬는 이야기들을 추가했다고 한다.
나 보다 몇살 어린 작가의 나이이기에 그의 기억은 나의 추억들과 괘를 같이 하고 있다.
그래서 그가 이야기하는 영웅들 - 박철순, 최동원, 선동렬, 박정태 등-은 나의 영웅들이고
그가 전하는 故김상진의 이야기는 나의 가슴에도 눈물을 흘리게 한다. 해태팬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프로야 역사에서 길이 남을 수많은 명승부들 중에서 끌어낸 이야기들도 새록새록 기억을 자극한다.
야구팬이라면 이 소설에 열광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정말 멋진 소설이다.

한 남자의 우직한 걸음을 끝까지 지켜보는 한 여자의 순정에 눈물이 난다.
긴 세월, 자신에게 눈길조차 허락하지 않는 남자를 기다리는 여자의 심정을 남자인 내가 공감할 수 없다.
그러면서도 끝까지 남자를 지키는 그녀의 사랑이 한없이 부러워지는것은 어쩔 수 없다.
그녀의 발목을 붙잡는 무뚝뚝한 말. '가시나, 보고싶었다'라는 남자의 말에 담긴 애정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그 두사람의 사랑이 한없이 부럽고 한없이 이쁘고 한없이 행복하게 느껴저서 나 또한 웃음이 났다.
게다가 그 결말이 해피엔딩이었으니 얼마나 좋은가? 역시 난 해피엔딩이 좋다.
야구라는 소설의 소재로 인해 딱딱할 수 있는 분위기를 희정의 사랑이 부드럽게 만들어 준다.
그녀의 사랑에 눈물을 흘릴 여성 독자가 상당히 많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

야구가 소재에 그치지 않고 야구를 통해 인생과 성공의 의미를 이끌어내는 소설.
거기다 재미와 웃음과 눈물이 공존하는 이런 멋진 소설을 만난 것은 나에게 행운이었다. 강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