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티나 데이터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정환 옮김 / 서울문화사 / 201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CSI 같은 미국 드라마를 보지 않더라도 DNA를 이용한 수사는 이제 누구나 알고 있다.
그런데 이것이 더욱 발전되어서 전 국민의 DNA를 데이터화 하여 수사에 이용한다면?
경찰청의 기구라는 이런 DNA 수사시스템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책임자이다.
국가의 전폭적인 지지하에서 DNA 수사시스템은 엄청난 성과를 올리고 승승장구한다.
그러나 DNA 시스템에 걸리지 않는 이른바 ’NF(Not Found)’ 사건이 연속으로 발생하고
설상가상으로 시스템의 프로그램을 개발한 천재적인 수학자 ’소코’남매가 살해당한다.
’소코’ 남매의 살해현장에서 발견된 머리카락을 분석한 결과는 놀랍게도 기구라 자신.
한편 DNA 수사시스템을 배우겠다고 미국에서 온 리사는 도망치는 기구라를 돕는다.
조건은 ’소코’ 남매의 마지막 프로그램인 ’모글’을 찾아서 넘겨달라는 것.
경시청의 형사 아사마는 DNA 수시시스템의 비인간성에 반발하고 ’NF’사건을 조사한다.

전 국민의 DNA를 데이터화 한다는 상상은 생각만으로 무서운 일이지만 충분히 가능하다.
책 표지에 나와있는 대사처럼 국민의 반발은 정치가들에게 전혀 무섭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 그런 사회가 온다면 특별한 피해가 가지 않는 한 반발이 그리 크지는 않을 것이다.
문제는 이런 데이터화된 사회의 모습이 과연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인가?라는 것이다.
어떤 시스템이 생기면 처음에는 조금 불편하겠지만 나중에는 공공에 이익(?) 된다면
그것이 사회의 발전으로 이어진다는 생각에 어느새 우리 스스로 감시의 감옥에 갇힌것은 아닐까?

기구라의 어린 시절에 그가 겪어야 했던 사건들의 경우만 보더라도 그렇다.
최고의 도예가였던 그의 아버지도 결국 기계에 지고 스스로 목숨을 끊어야 했다.
그 후 기구라가 인간의 사회는 기계의 발전으로 발전될 수 있다는 기계만능주의가 되는건 슬프다.
심지어 인간의 마음마저 DNA로 분석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까지 발전되면서 점점 삭막해져 간다.
그런 그와 반대로 그의 또다른 인격인 ’류’는 사건의 시점부터 억압된 기구라의 감성이다.
흔히들 말하는 이중인격, 전문적으로는 ’해리성 인격장애’라고 하는 현상이 이야기의 중심이 된다.
사건이 있고 경찰이 수사에 나서고 범인의 치밀한 트릭들이 있지만 추리소설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기구라로 대표되는 이성과 ’류’로 대변되는 감성의 대결은 누구나 매일 겪는 일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경우 이성이 승리하고 그것이 우리 사회를 지탱하는 질서의 기준이 되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이 옳은 것인가? 억압된 감성이 올바른 것인가? 시스템화가 사회의 발전인가?
기구라가 해리성 인격장애를 겪으면서 서서히 ’류’의 인격과 동화되는 과정이 따뜻하게 느껴진다.
그 과정이 따뜻하게 느껴진다는 것이 어쩌면 나 스스로도 문명에 지쳐버린 것인지도 모르겠다.

소설은 ’NF13’ 사건을 추리해 나가는 과정과 기구라가 도주하면서 ’모글’을 찾는 이야기가 겹쳐진다.
아사마의 수사와 기구라의 추적이 하나의 접점에서 만나면서 상상도 못한 반전이 펼쳐진다.
언제나 게이고의 작품에서 진범을 예상해서 맞춘 적이 없지만 이번은 정말 상상도 못했다.
언제나처럼 버리듯이 툭 던져놓은 단서들을 조합하여 마지막에 거대한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게이고의 천재성은 이미 나 스스로 손을 들어버린 정도지만 이 소설에서 최고에 달한 느낌이다.
등장인물의 성격을 설명하기 위해 펼쳐놓은 일화 속에 숨겨진 작은 단서가 커다란 열쇠가 된다.
[용의자 X의 헌신]에서 마지막 반전에 무릎을 탁 쳤지만 이 소설에서도 그 정도의 느낌을 받는다.
[용의자..]와 소설의 성격자체가 많이 다르기 때문에 직접 비교하기는 힘들지만 
개인적으로는 게이고의 모든 작품들 중에서 단연 최고였다고 말하고 싶을 정도로 재미있었다.
스스로 게이고의 광팬임을 자부하는 나이지만 이 소설이 정말 최고였다.

게이고의 지금까지의 소설들이 추리소설이라고 할 수 있는 소설이었다면
이 소설은 추리소설이라기 보다는 사회소설에 가까운 소설이었다.
이전의 작품들이 이야기에 힘을 실었다면 이 소설은 의미에 힘을 실었다.
게이고가 이 작품을 통해서 전하고자 하는 의미는 마지막에 나타난다.

’어느 사회에서나 신분은 있다. 인간 사회에서 완전한 평등이란 있을 수 없다.’

플래티나 데이터의 의미와 이 대사가 전하는 메시지는 워낙에 강해서 쉬게 지워지지 않는다.
어쩌면 우리 사회도 이미 플래티나 데이터가 넘쳐나는 세상이 되어 버렸는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더욱 더 그가 전하는 메세지에 씁쓸함에 더해지는 느낌이다.

게이고의 팬이라면 열광할 수 있는 소설이다.
그의 팬이 아니라도 충분히 즐거움은 느끼고 생각할거리를 얻어갈 수 있는 멋진 소설이다. 강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