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 여자
기욤 뮈소 지음, 전미연 옮김 / 밝은세상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유독 여자들이 좋아하는 작가 중에 한 명이 바로 '기욤뮈소'이다.
처음에 [구해줘]를 통해 그의 소설을 접한 후에 푹 빠져 지내긴 했지만
언젠가부터 비슷한 설정이 싫어 멀리하다가 최근에 [사랑을 위해 돌아오다]를 보면서
다시 예전의 관심이 생기기 시작한 작가의 신작 [종이여자].
물론 재미있는 소설이기는 하지만 마눌님을 비롯한 주변의 여자들이 열광하는 건
아무리 생각해도 그 정도의 열광까지는 아니라는 생각에 이상하게 느껴진다.

운명이라 생각했던 사랑에 배신당하고 실의에 빠져버린 베스트셀러 작가 '톰'
어느날 그의 앞에 자신의 소설에서 '떨어졌다'는 '빌리'라는 여자가 나타난다.
말도 안되는 상황이지만 그녀를 소설속 인물이라 믿기에 충분한 정황들.
빌리는 톰에게 자신이 소설속으로 돌아갈 수 있게 소설의 완성시켜주면
잃어버린 톰의 사랑을 되찾아주겠다고 제안하고 둘은 모험을 시작한다.

소설 속에서 '튀어나온' 여자라는 다소 황당하고 엉뚱한 설정은
기욤뮈소릐 책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에게는 말도 안된다는 반발을 사겠지만
그의 이전 작품을 접한 독자들이라면 이보다 더한 설정들도 많았기에 
충분히 받아들이고 작가의 설정에 몰입할 수 있다.
소설은 톰의 잃어버린 사랑의 찾아나서는 여정을 통해 서서히 젖어드는
톰과 빌리의 감정의 변화에 중점을 두어 사랑이 찾아드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미 끝을 예감하고 시작된 그들의 관계가 그럼에두 불구하고 사랑으로 발전하는 모습을.
그 사이사이 톰의 소설인 '천사 3부작'의 파본이 돌아가면서 만나는 사람들을 통해
하나의 소설에 각자의 상황과 상상력을 붙여서 서로다른 생명을 부여하는 독자들을 그린다.
소설의 주제는 사랑이지만 이번 작품에서는 소설과 독자에 대한 작가의 독서관을 잘 드러내고 있다.
언제나 함께 등장하는 주인공 주변의 사람들과의 우정을 여전히 이야기를 이끄는 힘이 된다.

뭐니뭐니해도 소설속 가장 매력적인 인물은 빌리이다.
영화 [귀여운 여인]의 줄리아로버츠가 소설속으로 뛰어든 것 같은 느낌의 매력적인 아가씨는
주변 상황에 전혀 꺼리낌없이 자신만만하게 행동하는 모습과 톡톡튀는 말솜씨로
사랑을 잃고 방황하는 톰을 현실의 세계로 되돌려 놓는다.
그 과정에서 톰의 상처를 감싸안고 그의 아픔을 함께하는 포근함도 보여준다.
자동차를 고친다거나 벽난로에 불을 지피는 등 남자들이 하는 일도 척척해내는 당당함.
실연으로 실의에 빠진 톰을 위로하기 보다는 자극하고 추스리는 맹랑한 말투.
이 소설이 영화로 만들어진다면 가장 사랑받을 만한 캐릭터라고 할 수 있다.
이전의 기욤뮈소의 작품들이 이야기의 힘과 섬세한 심리묘사를 무기로 했다면
이 소설을 거기에 살아 숨쉬는 매력적인 캐릭터들을 추가해서 보다 생생함을 준다.

기욤뮈소의 작품이기에 마지막에 어떤 형태의 반전은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또한 그 반전이 어떤 형태일지 나름의 예상도 하고 에상이 맞는지 기대하며 읽었다.
예상대로 반전은 있었지만 그 반전이 그동안의 기욤뮈소의 방식을 따라가지 않았다.
작가의 다른 소설들에 비해 나름 신선했지만 그리 놀랍지는 않았다.
어쩌면 해피엔딩을 만들기 위해 억지로 넣어놓은 반전이라는 느낌도 든다.
그래도 나름 괜찮았고 무엇보다 나는 해피엔딩이 좋다.

사랑을 잃고 힘들어하는 사람들,
이제 막 시작하는 사랑이 영원하지 않을거라 불안해 하는 사람들,
한번쯤 사랑의 아픈 기억을 간직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권하고 싶은 소설이다. 강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