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을 말하다 2 - 이덕일 역사평설 조선 왕을 말하다 2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은 왕조국가였다. 
그것은 모든 권력은 백성을 대신하는 국왕에게서 나온다는 말이다.
모든 왕조국가의 기본이 되는 이 원칙이 조선에서는 지켜지지 않았다.
그 원인은 무엇이고 그 과정은 어떠했으며 왕권과 신권으 투쟁은 어떠했는가?
이미 [조선왕 독살사건]에서 '독살'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왕권과 신권의 대립을 그렸던 작가가
[조선 왕을 말하다] 1권을 통해 하나의 공통된 키워드로 새로운 시각으로 다시 이야기를 하더니
1권에서 부족했던 내용들을 더 말하고 싶어서 두번째 이야기를 전해주었다.

2권에서는 '삼종의 혈통', '독살설', '성공한 군주', '개국과 망국'을 키워드로 설정했다.
'삼종의 혈맥을 이은 왕들'을 통해서는 인조의 명분없는 반정 이후 등장한 서인 세력이
자신들의 기득권을 만들고 왕권과 대결을 펼치며 노론과 소론으로 갈라지는 과정을 그린다.
그 과정에서 효종-현종-숙종으로 이어지는 이른바 '삼종의 혈맥'을 형성하는 왕들이
신하들의 거센 도전에 어떤 식으로 응했으며 그 선택의 결과가 어떠했는지 설명한다.
'독살설에 휩싸인 왕들'에서는 이미 [조선왕 독살사건]에서 다루었던 예종과 경종을 통해
기득권을 가진 신하들(예종의 경우 공신들, 경종의 경우 노론)이 '택군'을 하는 과정과
그들의 도전에 맞서 왕권을 지키고 강화하고자 했던 왕들의 투쟁을 그리고 있다.
'성공한 왕들'에서는 조선의 가장 큰 성군이었던 세종과 정조를 통해
그들이 성군이 될 수 밖에 없었던 시대적 상황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쩔 수 없는 한계를 말한다.
왕권과 신권의 조화와 화합의 정치가 이루어냈던 조선의 태평성대를 통해
시대가 아무리 흘러도 변하지 않은 올바른 정치에 대해 지금의 위정자들에게 교훈을 전한다.
'나라를 열고 닫은 왕들'에서는 태조와 고종을 비교하면서 개국과 망국의 차이의 원인을 밝힌다.
고려에서 조선으로 넘어가는 과정과 일본에게 망국의 치욕을 당하는 과정을 보면서
시대의 흐름을 바르게 읽지 못하는 정치가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역사에서 만약은 없다고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수많은 만약을 가정하게 된다.
이미 그 결과가 나와있는 역사를 통해 우리가 배울 수 있는 것은 그 결과에 이르는 과정에서
수없이 일어나는 권력자들의 선택이 역사에 보여주는 결과에 대한 고찰이다.
지금의 권력자들이 죽어있는 역사에서 배워야 할 교훈이 바로 이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크게 느끼는 점은 국익에 앞서는 집단이나 개인의 이익이
역사에 얼마나 커다란 악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것이다.
특히나 그 집단이나 개인이 권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면 그 결과는 더욱 위험하다.
그러기에 권력을 가진 사람들은 더욱이 조심해야하고 우리 모두가 더 감시를 해야 한다.
그것이 이 책이, 지나간 역사가 우리에게 전하는 교훈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에 나온 고종의 이야기를 보면 섣부른 재조명이 얼마나 잘못된 것인지 알게된다.
드라마라는 변명으로 합리화 하기엔 그들이 왜곡한 역사의 진실이 심각한 수준이다.
드라마 '명성황후'가 가져온 고종과 민비에 대한 이해하리 못할 동정론과 합리화,
최근에 끝난 '동이'가 가져온 숙빈 최씨와 영조에 대한 잘못된 이해는 합리화 될 수 없다.
최소한 역사드라마를 쓰는 작가들이라면 최소한의 역사의식은 가지고 있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역사는 유희로 삼기에는 그 가치가 너무나 소중한 것이기 때문이다.

조선의 역사에 대해 좀 더 깊이 생각하고 싶다면 꼭 한번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은 책이다. 강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