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잉 아이 - Dying Eye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10년 7월
평점 :
히가시노 게이고는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인기작가이다.
대표적인 다작(多作)을 하는 작가이지만 언제나 평균 이상의 소설을 쓰는 작가.
이미 내 책장의 4칸을 차지할 정도로 많은 책을 읽었지만 언제나 기대되는 작가.
그래서 아무런 주저없이 작가의 이름만으로 선택한 책이 [다잉 아이]이다.
제목 그대로 해석하면 '죽어가는 눈'이 된다. 소설의 내용도 제목을 충실히 따른다.
소설을 한 문장으로 요악하면 '기억해... 네가 죽인 나의 눈동자를...'라고 할 수 있다.
바텐더인 신스케는 어느 날 처음보는 사람으로부터 습격을 받는다.
그를 습격한 사람은 자신이 몇년전에 사고로 죽인 여자의 남편.
그러나 이상하게도 그의 머리속에서 자신이 낸 사고에 대한 기억이 없다.
사고에 대한 죄책감은 물론이고 자신이 사고를 냈다는 기억마저 희미하다.
그냥 무시하고 넘어가도 될 일이지만 찝찝한 마음에 그는 기억을 찾아 해맨다.
그가 잃어버린 기억의 빈터에 남겨진 추악한 진실과 여인의 한.
사건의 실체가 하나씩 벗겨지면서 여인의 한이 무서운 공포로 재현된다.
히가시노 게이고는 뛰어난 추리작가임에도 불구하고 감성적인 면이 강하다.
대표작인 [용의자 X의 헌신]을 보고서도 난 눈물을 흘린 기억이 있다.
그의 작품은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에 담긴 수많은 트릭도 뛰어나지만
사건이 일어나는 배경과 사건의 가해자와 피해자의 이야기가 더 뛰어나다.
그래서 감성적인 추리소설을 쓰는 작가라고 인식하는 그가 이번엔 공포소설이다.
물론 귀신이나 초자연적인 존재가 나오는 것은 아니지만 섬뜩한 공포로 가득차 있다.
행여나 혼자 있게 된 밤에 읽으면 절대로 편하게 잠을 잘 수 없겠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나라에서도 수많은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피해자와 가해자가 발생한다.
대부분의 경우 가해자들은 보험사를 통해 사건을 해결하고 보상금으로 마음의 빚을 덜어낸다.
교통사고로 실형이 선고되는 경우는 TV 뉴스에 나올 정도의 큰 사고가 아니라면 거의 없다.
자본주의 사회에 알맞게(?) 합의와 보상이라는 과정을 통해 편리하게 마음의 짐을 던다.
하지만 피해자의 입장에서는 어떤가?
피해자는 목숨보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을 수도 있고 평생의 꿈을 접어야 할 수도 있다.
그들이 받은 피해라는 것이 물질적인 보상이라는 것으로 깨끗이 정리되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그러나 어느 순간부터 우리 사회는 이런 적당한 타협에 길들여져 가고 있다는 우려가 생긴다.
작가는 소설을 통해 이런 부도덕한 타협에 대한 경고를 하고 있다. 그것이 전부가 아니라고....
소설의 피해자인 나미에도 나름의 고통에서 벗어나 이제야 행복을 꿈꾸던 주부였다.
그녀에게 세상이 이제야 조금씩 살아갈 이유를 주는 상황에서 닥친 교통사고는 저주 그 자체이다.
그러나 그녀를 죽음으로 몰아넣은 가해자들은 어떤가? 그들은 너무 편안하다. 적당한 타협을 통해.
죽은 나미에가 살아있는 가해자들을 향해 벌이는 복수극은 그래서 더 무섭고 섬뜩하다.
430여 페이지의 소설을 단 하루만에 읽었다.
출퇴근 시간에만 책을 읽는 내가 뒷이야기가 너무나 궁금해서 TV를 포기하고 읽었다.
순식간에 읽을 정도로 몰입감과 긴장감을 유지하는 것은 게이고의 장점이기는 하지만
이 소설은 그 중에서도 최고라고 할 수 있다. 이 소설 정말 대단히 재미있다.
그의 다른 작품인 [옛날에 내가 죽은 집]과 비슷한 양상을 띄고 있다는 것이 흠이지만
내가 생각하기에 소설의 재미는 다른 어떤 작품들 보다 뛰어나다고 생각한다.
이제 누군가 나에게 게이고의 소설을 묻는다면 이 소설이 추천목록의 상위권에 포진될 것이다.
올해는 늦더위가 기승을 부릴 거라고 한다.
짜증나는 무더위를 한방에 날릴 소설을 찾는다면 이 소설을 강력히 추천한다.
재미있고 무섭고 안타깝고 통쾌(?)하기도 한 완전 여름용 공포소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