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서아 가비 - 사랑보다 지독하다
김탁환 지음 / 살림 / 2009년 7월
평점 :
품절
이 책의 마케팅은 틀렸다.
조선 최초의 여성 바리스타와 고종의 이야기로 한 마케팅은 틀렸다.
소설의 소재은 ’노서아 가비’, 즉 러시안 커피이지만 이것은 사랑이야기다.
최초의 바리스타와 고종이 나오지만 분량도 많지 않고 비중도 높지 않다.
이 소설은 방금 갈아놓은 신선한 커피향처럼 매혹적이고
컵에 말라붙어 남겨진 커피의 잔해처럼 끈적한 사랑의 이야기이다.
그래서 이 소설의 마케팅은 틀렸다. 바리스타가 아니라 사랑을 광고해야 했다.
이처럼 매력적인 여성캐릭터는 처음이다.
현대 여성이 아닌데도 순종적이거나 운명에 순응하는 여자가 아니고
사회의 틀 안에 갇혀서 답답한 삶을 받아들이는 여자도 아니다.
광활한 러시아의 벌판을 휘젖고 다니고 세상을 속이는 과감한 여자다.
남자의 사랑에 목숨걸지 않고 자신의 살길을 마련하는 힘찬 여자다.
시대에 속박되지 않고 시대를 배경으로 세상을 속이는 여자.
’Catch Me If You Can’의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의 모습을 닮은 캐릭터다.
앞으로 이렇게 매력적인 여자 캐릭터를 다시 만날 수 있을까?
첫 페이지를 펼치고 마지막 페이지를 닫을 때 까지 쉼없이 넘어간다.
출퇴근 시간에만 독서를 하는 나로써는 소설 때문에 출퇴근 시간이 기다려졌다.
그렇게 얇은 책도 아니고 가벼운 책도 아니지만 술술 읽혀 나간다.
구한말의 조선을 배경으로 하지만 시대의 암울함을 강조하지 않는다.
시대와 장소는 그저 배경일 뿐, 역사마저 주인공들을 위한 배경이 된다.
그 배경 위에서 펼쳐지는 두 남녀의 기막힌 사기극은 끝까지 긴장을 놓지 못하게 한다.
일제시대와 독립운동을 배경을 했으나 유쾌했던 영화 ’놈놈놈’처럼
결코 가볍지 않은 시대를 살아갔으나 무척이나 유쾌한 사기극을 펼친다.
재미있다. 그래서 쉽게 읽힌다. 작가는 정말 타고난 ’이야기꾼’이다.
타냐의 시점에서 서술된 소설이기에 이반의 마음이 궁금했다.
이반은 정말 타냐를 사랑한 것인가? 아니면 그저 이용한 것인가?
읽는 동안 이반의 화려한 화술에 믿음과 불신의 사이를 오가다보면
책을 다 읽은 지금도 과연 그의 사랑이 진실이었는지 알 수 없다.
그에 비래 타냐의 마음은 소설 내내 자세힌 묘사된다.
그러나 지금 생각해보면 타냐의 시점에서 서술된 소설 자체가
어쩌면 가장 큰 반전은 아니었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진실은 어쩌면 타냐가 이반을 이용한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
두 남녀의 사랑은 커피처럼 유혹적이고 끈적하다.
’노서아 가비’는 타냐와 고종의 이야기가 아니라 타냐와 이반의 이야기다.
이 소설은 결국 역사소설이 아니라 로맨스 소설이다.
그리 무겁지 않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편안한 소설이다.
역사적 사실과 작가적 상상이 절묘히 조화를 이루는 재미있는 소설이다.
그리고 책을 다 읽고 난 지금 진한 커피 한 잔이 마시고 싶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