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신
마르크 함싱크 지음, 이수영 옮김 / 문이당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사도세자의 이야기를 다룬 소설은 헤아릴 수 없이 많다.
기나긴 조선의 역사를 통털어서 가장 비극적인 사건이었기 때문이고
그가 우리 역사에서 몇 안되는 참된 군주였던 ’정조’의 아비이기 때문이다.
누가 왜 사도세자를 죽음으로 몰았는가에 대한 답을 구하는 이런 소설들은
각자 자신만의 가정을 하고 그 가정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풀어가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 면에서 이 소설을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한 전혀 새로운 해석을 내 놓는다.

대부분의 한국인들도 소설로 쓰기 힘들 200여년 전의 조선의 이야기를 벨기에인이 썼다.
물론 그의 몸에 한국인의 피가 흐르는 입양아라는 사실이 있다고 해도 나에겐 충격적인 이야기였다.
한국어를 전혀 모르는 외국인이 쓴 한국의 역사소설을 역시 교포인 미국인이 번역했다.
참으로 특이한 상황이지만 그만큼 부끄러운 상황이기도 하다. 우리는 우리역사에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있을까?

조선의 중흥기를 열였다는 찬사와 함께 사도세자의 죽음으로 보여지듯
자신을 왕으로 만들어 준 노론과 자신의 어머니의 미천한 신분에 대한 열등감,
선왕인 경종에 대한 독살설까지 많은 허점도 가진 왕 영조.
반세기가 넘는 긴 집권기간동안 수많은 일을 겪어야 했던 불우한 왕이기도 하다.
그 영조 시절에 삼정승이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저자는 그 사건을 파헤쳐가다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한 새로운 가설을 세우고
그 가설에 맞춰 소설을 풀어간다. 그리고 그 속에 권력에 대한 인간의 욕심을 그려낸다.

사도세자의 죽음은 권력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건이다.
아비가 자식을 죽일 수 있는 잔인한 본성을 지닌 것이 권력임을 보여준다. 
역사의 평가에서 영조는 그 죄값에서 결코 가벼울 수 없다.
자신의 권력을 위해, 자신을 왕위에 올린 정치세력의 압박에 굴복한 과오는 씻을 수 없다.

그러나 이 소설에서 작가는 영조와 노론 세력에 대한 우호적인 시각을 보여준다.
그들이 역사에 저지른 과오에 대해 알지 못하거나 그 부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듯 하다.
한국의 역사를 제대로 배우지 못하고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작가의 한계가 아닐까?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했다는 것을 인정할 만 하지만
그런 해석에 대한 근거도 약하고 삼정승의 자살과의 연관도 억지에 가깝다.
한 마디로 소설적 의미의 개연성도 많이 부족하고 역사에 대한 인식도 미약하다.
소설이란, 특히 역사 소설이란 섣부른 가정을 하나 세우고 마음대로 만들어 내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소설에 대해, 특히 민감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소설에 대한 공부가 더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아쉬움이 든다.
전체적으로 많이 아쉬운 소설이다. 특이함에 비해 많이 부족한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