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붕가붕가레코드의 지속가능한 딴따라질
붕가붕가레코드 지음 / 푸른숲 / 2009년 10월
평점 :
MBC에서 아직 '개그야'의 인기가 조금이나마 남아있던 작년 여름.
무심코 본 '개그야'에 <장기판과 몽타주>라는 코너를 보게 되었다.
나름 참신하다고 생각했는데 <장기하와 얼굴들>에 대한 패러디라는 것을 알고
그럼 원본은 어떤건지 무척이나 궁금해 져서 뭐든지 아는 '네대리'에게 물었다.
그렇게 처음으로 <장기하와 얼굴들>을 접하게 되었을 때의 참신함을 지금도 기억한다.
노래를 들을 때 특히나 가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개인적인 성향과
'장교주'가 읊조리는 랩 같지 않은 랩이 기가막히게 들어맞았고 한동안 빠져있었다.
이 책을 선택한 것은 순전히 <장기하와 얼굴들>이라는 밴드에 대한 호기심 때문이었다.
책에서 내세우는 다른 밴드들은 - 브로콜리 너마저, 아마도 이자람 밴드, 술탄 오브 디스코 등-
미안하지만 이 책을 읽기 전에는 나의 관심에서 조금의 공간도 차지하지 못했다.
물론 그들의 노래를 들은 적도 있고 그들의 이름은 분명 기억에 있지만 관심이 가지 않았다.
이 책을 다 읽고 난 지금 나는 이제는 절판이 되었다는 그들의 노래를 듣고 싶어졌다.
다행이 MP3로라도 받을 수 있는 행운이 나에게 허락되길 기대하고 있다.
'홍대'라는 문화는 대학생들 사이에서는 너무도 익숙한 것이다.
그러나 그건 어디까지나 서울 혹은 수도권 대학에 다니는 이들에게 한정된다.
나처럼 지방에서 대학을 나온 이들에게 '홍대'와 '홍대문화'는 생소한 것이다.
그렇기에 인디문화와 인디씬이라는 것들도 우리에게는 어색하기 그지없는 것이다.
일종의 '문화적 충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니 이 책의 내용이 얼마나 신선했겠는가?
<장기하와 얼굴들>을 간판으로 내세우면서도 그들의 이야기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지 않는 책.
'붕가붕가레코드'라는 이름 자체부터 이미 평범함을 거부한 젊은 집단의 지독한 버티기.
대한민국에서 음악을 한다는 것은 정상적인 수입을 거부한다는 것과 동의어이다.
물론 공장에서 찍어내듯 기획사가 쏟아내고 있는 아이들은 내 기준에서 음악을 하지 않는다.
더욱이 인디씬들은 정상적인 생활을 하면서 음악을 이어가기란 이미 불가능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상황에서 '지속가능한 딴따라질'이라는 것은 책의 내용처럼 소박한 꿈이 아니라
이미 그들이 추구할 수 있는 가장 큰 꿈일지도 모른다.
그 꿈을 이루기 위한 젊은 사람들의 분투에 저절로 응원의 박수를 보내게 된다.
별 다섯개 정도의 만족을 했으면서도 별 하나를 빼는 이유는 나의 처지 때문이다.
이미 중년으로 넘어가는 나 자신의 나이가 억울하고
내가 그들처럼 젊었을 때 그들처럼 미치지 못했다는 것이 아쉽고
근성도 열정도 없다고 말은 하지만 그들이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있는 그들에게 질투가 생기기 때문이다.
아이를 키우다보면 수많은 욕심을 부리게 된다.
그러나 이제 초등학교 고학년의 아빠가 되고 나니 아이의 미래는 아이의 것임을 깨닫는다.
그저 바라는 것은 아이가 하고 싶은 일이 경제적으로 기본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그런 관점으로 볼 때 나는 내 아이가 '붕가붕가레코드'의 젊은 사람들을 닮기를 바란다.
꼭 음악이 아니더라도 자신이 하고 싶은 일에 미칠 수 있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