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의 만화책 - 캐릭터로 읽는 20세기 한국만화사, 한국만화 100년 특별기획
황민호 지음 / 가람기획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년의 기억속에 만화방은 작은 일탈의 장소로 남아있다.
지금이나 그때나 만화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 이미지가 강했기 때문에
만화방은 언제나 부모님 몰래 들어가서 낄낄거리며 어린 시절의 스트레스를 풀어버리던 해우소였다.
그 만화방에서 동네 형들에게서 조금씩 세상을 배워갔고
만화속 주인공들은 유년의 나의 기억속에서 세상 누구보다도 나를 잘 이해해주는 친구였다.
그 시절 만화는 지금의 화려한 3D 그래픽이 동반된 애니메이션과는 다른 것이었다.
볼거리, 놀거리가 흔치 않던 시절에 만화방은 어린이들의 최고의 놀이터였고
그에 비례하여 동네 만화방은 학부모들의 최고의 골치거리였다.
나이가 들어 이제는 사라진 그 시절의 기억을 되살려주는 책이 출간되었다.

고바우, 꺼벙이, 고인돌, 땡이, 독고탁, 이강토, 강가딘, 장독대, 둘리, 오혜성, 구영탄, 최강타....
나의 유년을 함께 했고 나의 청소년기에 세상에 대한 창을 제공했던 나의 벗들.
이제는 서점에서 찾아보기 힘들고 인터넷에서 조차 그 흔적을 더듬을 수 없게 된 그들.
꺼벙이의 엉뚱한 행동은 어린시절 내가 여러번 따라하다 부모님에 매를 벌었던 행동들이었고
독고탁의 기가막힌 마구를 던져 보겠다고 운동장 바닥에 수없이 넘어져야했고
이강토의 멋진 주먹과 슈퍼맨 같은 능력은 언제나 선망의 대상이어고
오혜성의 반항적인 눈빛과 엄지에 대한 순애보는 그대로 나의 청소년기 정체성으로 이어졌고
구영탄의 조금은 덜 떨어진 모습과 바보같은 순박함과 희생정신은 세상을 보는 새로운 시각을 만들어 주었다.
그들은 나에게 친구였고 나의 든든한 빽이었으며 나에게 세상을 가르쳐 준 스승이기도 했다.
책의 제목인 '내 인생의 만화책'은 제목 그대로의 의미를 나에게 부여한다.

70년애에서 80년대에 이르는 시기는 말 그대로 만화의 천국이었다.
어린시절 나의 유일한 호사였던 '보물섬'은 어머니가 공부 이외의 것으로 나에게 준 유일한 선물이었고
'소년동아', '영챔프'를 비롯한 수많은 소년잡지들과 그 속에 연재되었던 만화속 주인공들이 한국만화의 전성기를 만들었다.
TV 프로에서 만화가 선생님이 나와서 치솔로 사람얼굴을 그려내는 것을 보면서 신기해했던 기억은
나와 같은 시절을 살았던 동년배들에게는 너무도 익숙한 그림일 것이다.
지금은 인터넷의 발달로 '웹툰'이라는 이름으로 만화를 접하게 되고 일본만화들의 홍수속에 
그 시절을 주름잡던 출판만화는 설 자리를 잃어버리고 만화방은 도서대여점으로 변해버렸다.
그와 함께 나의 추억속 주인공들도 하나 둘 자취를 감쳐버려 너무도 아쉬웠는데 이 책은 그들을 모두 살려내 주었다.
그들은 사라진 것이 아니었다. 나의 기억속에 유년의 추억들과 함께 지금도 살아있었음을 이 책을 통해 깨닫게 된다.
그리고 그 친구들과의 유쾌한 재회는 이 책을 읽는 동안 나의 입가에 작은 미소를 남긴다. 진한 그리움과 함께....

요즘의 웹툰들을 보면 스토리의 부족을 느낀다.
하나의 장편으로 이어지는 스토리 보다는 짤막한 에피소드들의 나열로 순간의 웃음을 유도한다.
웹툰의 캐릭터들도 일관된 모습으로 긴 이야기를 끌어가는 것이 아니라
에피소드의 상황속에서 성격을 드러내는 단편적인 느낌이 강하다.
패스트푸드처럼 짧은 유통기간을 지닌 요즘 세대의 성격과 많이 닮아있다.
긴 호흡을 가지고 뚝배기같은 은근함을 가졌던, 그래서 긴 이야기를 풀어내던 그 시절의 만화가 그리워진다.
그래서 내가 '강풀'이라는 만화가를 좋아하는지 모르겠다.
인터넷 시대에 긴 호흡을 가지고 긴 이야기를 풀어내 진한 감동을 전하는 작가이기 때문이다.
어쩌면 '강풀'같은 만화가들의 이러한 시도가 그 시대와 지금의 시대를 이어주는 가교의 역할을 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한국만화의 미래는 그리 어둡지만은 않다.

책을 읽으면서 다시 오혜성과 구영탄과 최강타를 만나고 싶었다.
그러나 인터넷 서점을 돌아 다녀도 그들을 만나기란 참 어려웠다.
다시 한번 '아마게돈'의 오혜성을 만나고 싶은데 이제는 어디서 찾아야 할까?
유년시절의 기억속에 살아 숨쉬고 있는 나의 오랜 친구들과의 유쾌한 재회뒤에 그들에 대한 그리움이 가득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