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도하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무도하 공경도하 타하이사 당내공하'
이 노래를 처음 배웠던 것이 중학교 때 였던 걸로 기억한다.
우리의 역사라고 하기엔 너무도 먼 시대에 실제로 있었던 이야기를 담은 노래.
강물에 뛰어든 미치광이의 아내의 한과 끝내 그를 보내지 못하는 안타까움이 담긴 서정적이 노래.
그래서 '김훈'이라는 작가가 '공무도하'라는 소설을 쓴다고 할 때 
'드디어 김훈작가의 사랑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 지도 모른다'는 아주 순진한 기대감을 품었었다.
인터넷에 연재되는 동안 단 한번도 눈길을 두지 않았다가 발간되었다는 소식에도 잠시 머뭇거렸지만
김훈 작가의 글을 좋아하는 내가 결국은 지름의 유혹을 뿌리칠 수 없었기에 읽게 되었다.

특유의 건조한 문체는 여전하다.
좋다, 싫다, 옳다, 그르다, 착하다, 못됐다... 어느 하나의 감정도 실리지 않은 그의 문체.
기자 출신의 작가의 전직이 가장 잘 드러나는 이번 소설의 문체는 <칼의 노래>나 <남한산성>의 문제와는 다른 느낌이다.
마치 신문의 기사를 전하듯이 객관적이고 증명된 사실만을 간결하게 전하는 문체.
그래서 소설을 읽는 내내 신문을 읽고 있는 듯한 착각에 빠지게 한다. 작가의 전직이 그대로 드러난 느낌.

소설의 내용도 신문과 크게 다르지 않다.
날마다 신문에서 만나는 사건들, 날마다 신문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소설속에 그대로 나타난다.
신문 기사 몇줄로는 요약할 수 없는 그들의 삶과 사건의 배경이 조금 더 상세하게 묘사될 뿐이다.
특정한 주인공이 없이 그저 우리네 사는 세상의 이야기를 객관적으로 서술하는 방식의 소설.
그래서 책의 마지막 페이지를 덮을 때 까지 아무런 갈등도 없고 아무런 클라이막스도 없다.
아예 아무런 사건도 벌어지지 않는다. 그저 우리가 살아가듯 소설속 인물들도 살아갈 뿐이다.
소설이라고 하기보다는 우리네 삶을 그대로 반사하고 있는 거울앞에 선 느낌이다.
세상은 소설이 주제로 삼고있는 처절한 사랑도 없고, 도덕성에 근거한 윤리적 기준도 없다.
주인공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극적인 사건도 없고, 정의가 승리하는 권선징악도 없다.
그저 그렇게 살아갈 뿐이다. 그래서 인간은 적당히 치사하고 적당히 던적스럽다.

우리는 모두 알고 있다. 세상이 사람들의 상식대로 흘러가지 않는다는 것을.
약육강식이 있고, 비리가 있고, 윤리를 잃어버린 부모가 있고, 직업의식을 던져버리는 소방관도 있다.
베트남에서 돈주고 사와서 헌신짝처럼 버리는 여자들도 있다.
기자라는 직업의식에 사로잡혀 그 모든것을 다루고 바꾸려 한다해도 세상은 변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조금은 비루하고 조금은 던적스러운 인간을 견디며 살아가야 한다. 그것이 가장 큰 당면과제이다.

비루하고 던적스러운 세상이지만 달아나서는 안된다고 말한다.
소설의 제목인 '공무도하'에서 말하는 건너지 말아야 할 강은 인간 세상을 말하는 것이다.
죽을 고비를 맞아서도 꿋꿋이 삶을 이어나가는 박옥출의 모습이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이다.
힘들고 치지고 짜증나는 세태지만 그것을 견디고 살아가는 것이 바로 삶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