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니 - 공지영 장편소설
공지영 지음 / 창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른바 '나영이'사건으로 온 나라가 시끄러운 이 시점에 이 책을 읽은 것이 이 책의 분노를 배가시키는 역할을 했고 그렇기에 이 책의 결말이 더 억울한 느낌이 든다. 그러나 그것이 지금의 우리의 모습에 더 가깝다는 것이 진실이기에 억울함을 누구에게 풀어야 할 지도 모르겠다. 소설의 전반에 걸쳐서 자욱하게 깔린 안개처럼, 안개에 갇힌 거리처럼 시야가 안보이는 답답함이 유일한 답이라는 이 기분은 정말 찝찝함을 남긴다. 공지영이라는 작가는 왜 이리 답답함으로 나를 부끄럽게 하는가? 왜 나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소설속의 이야기에 고개를 들지 못하는 미안함을 느끼는 것일까? 주인공 강인호의 마지막 행동을 욕하지 못하는 나의 나약함에 대한 분노가 이는 것은 어떤 이유일까? 답답하다.

안개가 자욱하게 깔린 무진. 한 때 민주화의 성지였다는 영광만을 간직한 채 퇴락되어 가는 작은 도시에 시간제 교사로 내려가게 된 강인호. 장애인 학교인 자애학원에 도착한 첫날부터 이상한 기미를 느끼게 되지만 지독한 안개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안개로 시각의 의미가 없어진 그 도시에서 청각을 잃은 아이들에게 가해진 야만적 폭력은 상상을 초월한 것이었다. 남을 위한 어떤 일도 한 적이 없는 인호는 자신을 믿는 아이들의 눈빛에 끌려 거대한 비리와의 대결에 나서게 된다. 그러나 그가 싸워야 할 상대는 남의 불행에는 전혀 관심이 없는, 모르는 척 무시해 버리고 마는 세상의 전부였으니...

소설의 결말은 결코 해피엔딩이 아니다. 전혀 이길 수 없는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에서 기적적으로 다윗이 이기는 과정을 그리는 해피엔딩이 아니다. 결국 다윗은 골리앗에게 패배한다. 극중 강형사가 말한 대로 '다윗과 골리앗의 이야기가 유명한 것은 역사를 통해 단 한번밖에 일어나지 않은 일이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다윗은 골리앗에 패배하는 것이 현실이다. 흔히들 '유전무죄 무전유죄'를 외치며 법의 평등을 믿고 진실의 승리를 믿어야 한다고 교육을 받지만 현실이 그렇지 않음을 우리는 알아간다. 우리의 인생이란 그 어두운 진실을 하나씩 알아가는 과정인지도 모른다. 어른이 된다는 것은 어쩌면 다윗은 결코 골리앗을 이기지 못한다는 진실을 알아가는 과정인 것이다. 작가는 이 소설을 통해서 그 아프고 슬픈 진실을 다시한번 알려주고 있다. 그래서 나는 조금 더 어른이 되어버린 것일까? 나이 40이 되어서도 아직도 순진하게 진실의 승리를 보고싶었던 나의 바램이 비참하게 무너진 소설이지만 결코 작가를 탓할 수 없음이 가슴을 먹먹하게 만든다.

베스트셀러에 대한 거부감이 강한 내가 특히나 논란의 대상이 되는 공지영 작가의 책을 읽기는 쉽지 않았지만 읽기를 잘했다. 조금씩 우리나라 작가들에 대한 믿음이 생기기 시작한다. 박민규, 김진명, 정은궐, 공지영.... 서서히 한국작가의 목록이 나의 독서리스트에 올라가면서 우리나라 문학에 대한 묘한 거부감도 조금은 줄어든 느낌이다. 이 책도 그 과정에서 큰 도움을 주었다.

진실이 가지는 유일한 단점은 그것이 몹시 게으르다는 것이다. 진실은 언제나 자신만이 진실이라는 교만 때문에 날것 그대로의 몸뚱이를 내놓고 어떤 치장도 설득도 하려 하지 않으니까 말이다. 그래서 진실은 가끔 생뚱맞고 대개 비논리적이며 자주 불편하다. 진실 아닌 것들이 부단히 노력하며 모순된 점을 가리고 분을 바르며 부지런을 떠는 동안 진실은 그저 누워서 감이 입에 떨어지기만을 기다리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 세상 도처에서 진실이라는 것이 외면당하는 데도 실은 그만한 이유가 있다면 있는 것이다.
- p.165

그래서 우리는 그렇게 어이없이 무시당하는 진실을 매일같이 목격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