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소화 - 4백 년 전에 부친 편지
조두진 지음 / 예담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TV 뉴스에서 400년의 세월을 이긴 '원이엄마의 편지'를 접했을 때, 가문간의 형식적인 결혼을 했던 그 시절에 그토록 애절한 사랑을 가질 수 있었던 부부의 사연이 참으로 궁금했었다. TV 뉴스로 접한, 신문의 기사로 접한 내용은 너무도 짧았기에 그 편지 뒤에 숨겨져 있는 두 사람의 사랑과 그들의 삶에 강한 호기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 '원이엄마의 편지'를 기초로 한 이 소설의 출간 소식에 호기심이 동해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그리고 나의 호기심과 궁금증을 충분히 채워 줄 만한 이야기에 만족감을 가질 수 있었다. 비록 이 소설은 말 그대로 소설이기에 그 진실은 알 수 없었다고 하더라도 나의 호기심은 충분히 채워 주었다.

소화꽃은 하늘의 꽃이라고 한다. 모든 꽃들이 떨어지고 없는 한 여름에 홀로 피어나 고고하고 우아한 자태를 한껏 뽐내다가 시들지 않는 꽃 그대로 툭! 떨어져 버리는 꽃. 이 세상에 자신의 추한 모습을 보이지 않는 자존심이 강한 꽃. 그렇기에 조선조 양반들이 그들의 집에 한 그루씩은 꼭 심어두고 절개를 기렸다는 꽃. 그러나 그 향기를 맡으면 정신을 이상하게 만들어 버리고 그 꽃을 만진 손으로 눈을 비비면 눈이 멀고 만다는 치명적인 독을 가지고 있는 꽃. 인간의 접근을 허락하지 않는 히말라야의 고봉들 처럼 고고한 자태를 가진 꽃. 그 소화꽃을 닮은 여늬를 사랑한 응태. 자신의 목숨마저 위협할 수 있는 치명적 운명을 가진 그녀를 지극한 정성과 사랑으로 감싸 안았던 응태의 사랑. 그런 자신의 운명을 저주하며 그런 자신을 안아 준 응태의 사랑에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치고자 했던 여늬의 사랑. 두 사람의 사이를 방해할 수 있는 사람은 오로지 하늘밖에 없었음을, 오로지 운명만이 갈라놓을 수 있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운명이 아니면, 하늘의 뜻이 아니면 감히 누가 그들의 사랑을 방해할 수 있단 말인가....

서로의 운명을 탓하며 그들의 운명에 힘없이 꺾였다면 그들의 사랑은 이루어질 수 없었을 것이다. 자식의 가혹한 운명을 피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했던 요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찾아온 비극적 운명. 그러나 응태는 결국 그 운명을 받아들이고 그 운명을 이기려 하였다. 그녀에 대한 자신의 사랑으로 운명을 이기려 했었다. 그녀 또한 자신의 운명을 탓하며 저주하지 않고 자신에게 다가 온 응태의 사랑을 거부하지 않았다. 수많은 사람들이 수많은 이유로 사랑을 거부하고 다가오는 사랑을 멀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여늬와 응태의 모습을 보면 그 수많은 이유들이 얼마나 초라한 변명에 지나지 않았는가? 사랑을 두려워 하지 마라. 다가오는 사랑을 멀리하지 마라. 그렇게 당당하게 운명에 맞서 치열하게 사랑하라. 400년이 지난 그녀의 편지가 너무도 당연한 진리를 말하고 있지 않은가?

400년이 지난 단 한편의 편지로 이렇듯 아프고 이쁜 사랑을 만들어 낸 작가의 스토리텔링에 감탄한다. 작가의 능력이 아니었다면 뉴스의 짧은 토픽으로 끝나고 말았을 '원이엄마의 편지'는 눈물이 나게 슬프면서도 시종일관 미소를 머금게 하는 이쁜 사랑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미이라의 형태로 발견된 응태의 시신이 부패하지 않은 이유를 과학적인 이론으로 충분히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과학이 신격화 되고 있는 시대라고 하더라도 응태의 시신이 부패하지 않은 이유가 그를 향한 여늬의 애절한 사랑이었다고 생각하고 싶은 것은 나만의 소망은 아닐것이다. 세상이 힘들어 지고 모두의 감정이 메말라가는 시절이기에 한 편의 편지가 던져 준 애절한 사랑이 더욱 소중하게 느껴진다. 소화꽃 흐드러지게 피어난 하늘의 정원에서 부디 두 사람이 다시 만나서 이승에서 다하지 못한 뜨거운 사랑을 이어가고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 하늘을 다시 쳐다보게 된다. 아... 오늘의 하늘은 너무도 청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