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 왕비 독살사건 - 여왕을 꿈꾸었던 비범한 여성들의 비극적인 이야기
윤정란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9년 6월
평점 :
품절
낚였다....
새로나온 '나몰라 패밀리'의 노래 제목이 아니다.
이 책이 나를 낚아버렸다.
'조선왕비 독살사건'은 아무리 생각해도 '조선왕 독살사건'과
내용이 완전히 다를 것이라고 생각할 수 없는 제목이다.
'조선왕 독살사건'을 통해 독서의 즐거움을 알았고
'이덕일'이라는 인생의 스승을 만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이 책의 제목은 내가 도저히 읽지 않고 넘어갈 수 없는 마력을 지닌 것이다.
그러나.... 그러나.... 이 책의 내용은 절대로 '독살'이 아니다.
'사건'이라는 말 조차도 조금은 민망한 느낌이 들 정도이다.
말 그대로 제목이 나를 '낚아' 버렸다.
역사에서 사라진 이름 왕비
조선은 사대부의 나라였다.
조선의 왕들은 끊임없이 왕권의 강화를 꾀하였고
조선의 사대부들은 왕 조차도 하나의 '대빵' 사대부로 인정할 뿐
절대 왕권은 허락하지 않으려 했다.
조선의 역사는 왕권과 신권의 끊임없는 대립의 역사였다.
그러나 그 모든 역사는 유교적 사회질서에 기반을 둔 남성의 역사일 뿐.
여성의 역사는 기록하나 남아있지 않았고 왕의 부인인 왕비 조차 그 한계를 넘어서지 못했다.
다만 왕권과 신권의 끝없는 대립 속에서 남성들의 역사를 위해
약간의 조연의 역할만을 하는 것이 고작이었다.
그렇게 잊혀진 여자들의 역사, 그 중 왕비들의 역사를 재구성한 책이 바로 이 책이다.
뛰어난 시도... 그러나 아쉬운 결과
역사에서 잊혀진 왕비들의 이야기를 끌어내었다는 시도는 뛰어나다.
그 결과를 떠나서 시도 그 자체는 충분히 평가 받아야 할 만한 가치가 있다.
왕을 중심으로 한 왕조의 역사를 써내려간 역사서는 많았으나
그 중심을 왕비에 두고 써내려간 왕조의 역사서는 아직 없었다.
그래서 이 책의 시각은 신선하고 이야기의 전개는 새로운 방식을 만들어냈다.
그러나 그 결과에 대한 아쉬움은 어쩔 수 없다.
그 가장 큰 원인은 남성위주로 이루어진 역사의 기록이 부족한 까닭일 것이다.
그나마 가장 많은 기록을 남겼다는 왕비들 마저도 그 사료의 부족은 어쩔 수 없다.
그 결과 왕비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갔다고 하나 결국 남성의 역사의 반복일 뿐이었다.
결국 '조선왕 독살사건'의 내용에서 별로 차이가 나지 않는 책으로 만들어 진 것이다.
교양역사서를 처음으로 접하는 독자라면 정말로 많은 도움을 주고 새로운 시각을 주겠지만
몇권이라도 조선의 역사를 다룬 역사서를 읽은 사람이라면 조금은 식상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아쉬움이 남는 건 어쩌면 나의 기대가 너무 컸기 때문일 수 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