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밀레니엄 3 - 상 - 바람치는 궁전의 여왕 ㅣ 밀레니엄 (아르테) 3
스티그 라르손 지음, 박현용 옮김 / 아르테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의 내용에 대한 서평에 앞서 아쉬움을 토로하지 않을 수 없다.
정말로 아무런 기대도 없이 집어들었다가 나를 완전히 미치게 만들었던
새롭고 참신하고 뛰어난 추리소설인 '밀레니엄' 시리즈가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는 아쉬움.
게다가 그 대단원이 작가의 의도대로의 대단원이 아니라 작가의 요절에 의한 대단원이라는 아쉬움.
게다가 작품의 질이 전혀 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해야할 이야기를 많이 남긴 채 끝났다는 아쉬움.
정말로 '밀레니엄'이라는 시리즈는 전혀 기대하지 않은 상태에서 큰 기쁨을 준 대박 시리즈이다.
1권과 2권은 전혀 별개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따로 따로 읽는다고 해도 무리가 없다.
서로 연결되는 부분이 거의 없는 상태로 이야기가 연결되었기에 따로 읽어도 된다.]
그러나 3권은 완전히 다르다. 2권을 읽지 않고는 도저히 따라갈 수 없다.
2권의 사건에 대한 뒷처리를 다룬다고 말할 수 있는 3권은 2권과 대부분 이어진다.
2권에서 머리에 총을 맞고 땅에 묻혔다가 기적적으로 살아난 리스베트.
경찰에 의해 병원으로 후송된 그녀는 생사의 갈림길에서 수술을 받는다.
리스베트의 아버지인 살라첸코 또한 검거되어 리스베트와 같은 병원에 입원한다.
살라첸코의 검거에 의해 자신들의 범죄가 밝혀질 위기에 처한 비밀조직 '섹션'은
위기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또 다시 리스베트를 희생양으로 삼으려 하고
미카엘은 리스베트의 무죄석방과 복권을 위해 국가권력과의 싸움을 시작한다.
세상에서 가장 복지가 뛰어나다는 스웨덴에서 일어난 가장 비 인권적인 범죄.
그 범죄의 희생자를 위한 투쟁과 자신들의 범죄를 덮으려는 권력을 가진자들의 투쟁.
한 때 사회주의에 빠졌었고 아나키스트적인 성향이 강한 작가의 소설은
국가의 권력에 의해 개인의 인권이 얼마나 유린될 수 있는가를 극명하게 다룬다.
헐리웃 영화에서도 많이 다루었던 재료중에 하나였던 소재이지만
그 배경이 북유럽이 되고 주인공이 기자와 해커가 되면서 새로운 이야기가 된다.
작가의 뛰어난 글 솜씨는 생소한 등장인물들의 이름마저도 장애가 되지 않을 정도로
강한 흡입력과 한시도 눈을 떼지 못하게 만드는 긴장감을 만들어 낸다.
리스베트에 대한 재판이 일어나기 이전에 미카엘을 중심으로 하는 리스베트의 친구들과
클린턴을 중심으로 하는 '섹션' 조직들간의 대결은 한편의 첩보물을 보는 느낌이다.
재판에서 서로가 보다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서로가 서로를 감시하고 속이고 서로에게 작전을 거는 모습들은
헐리웃의 어떤 첩보스릴러 보다 훨씬 재미있다. 한편의 영화 같은 모습.
리스베트의 재판과정에서 보여지는 이야기는 법정드라마로 넘어간다.
대부분의 법정드라마들이 그렇듯 초반에 검사측의 논리에 밀리던 모습의 리스베트측이
어느 순간 책의 전편에 걸쳐서 깔아두었던 단서들을 하나씩 모아서 반격하는 모습에서
시종일관 답답함을 느끼던 독자들은 통쾌함과 함께 강력한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한다.
책의 전반에 걸쳐서 여기저기 던져 놓았던 대부분의 단서들이
하나 하나 검사측에게 날카로운 비수로 꽂히는 장면들은
작가의 이야기 구성능력이 얼마나 뛰어난 것인지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일본작가 중에 히가시노게이고가 그런 작은 단서들을 잘 이용하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는데
이 책의 작가인 스티그라르손 역시 그에 전혀 뒤지지 않는 능력을 보여준다.
정말로 법정에서의 마지막 반전 부분은 스트레스를 날려줄 만큼 시원함을 안겨준다.
마지막 유산정리 과정은 하나의 보너스라고 할까?
첩보물에서 법정드라마로 갔다가 끝은 액션으로 마무리를 지어주는 센스.
작가가 요절하지 않았다면 어떤 이야기가 어떻게 이어졌을지....
그 누구에게도 추천하기를 꺼리지 않을 정도의 소설이다.
결코 실망하지 않을 거라고 자신있게 권할 수 있는 시리즈.
작가의 요절에 다시 한번 아쉬움을 느끼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