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박민규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엔 박장대소로 시작한다.
전국의 모든 어린이들이 국민교육헌장을 외우고 다니던 시절에
뺑뺑이로 명문 중학교에 들어간 아들이 자랑스러운 아빠의 오버로 시작한 그 웃음은
하고싶은 말이라고 해도 함부로 하지 못했던 그 시절에 대한 조롱으로 이어지고
국민들의 눈과 귀를 돌리고자하는 이른바 3S전략의 일환으로 시작된 이 땅의 프로야구를 매개로
하필이면 인천에 산다는, 그리고 인천에 생긴 프로야구팀이 '삼미 슈퍼스타즈'라는 이유로
그 어린 나이에 생각지도 못한 가슴속 상처를 지니게 된 소년들의 안쓰러움에 대한 희화로 이어진다.
때로는 소소한 미소로 번져나가다 때로는 배꼽을 쥐어짜는 박장대소로 이어지는 그 웃음은
작가의 절대로 범상치 않은 문체로 인해 그 진폭이 더욱 커지고
똑같은 문장의 반복이 절대로 지겹지 않도록 만드는 그의 말투는 독자를 잡아끄는 묘한 매력을 품고있다.
초반의 그 웃음이 조금 정리되는 순간부터,
정확히 말해 '삼미 슈퍼스타즈'라는 팀이 사라지는 그 순간부터
각이 큰 기막힌 슬라이더처럼 휘어진 이야기는 젊음과 방황으로 이어지고
아마추어를 버리고 스스로 프로가 되고자 노력하는 주인공의 애달픈 노력으로 이어진다.
프로가 아니면 의미가 없어져 버리는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버티며 살아가는 그의 모습은
그 나이대의 나의 모습과 많이 닮아있어서 묘한 동질감을 느끼게 만든다.
그 나이대에 나도 그렇게 치열하게 살았던 것 같은데... 그와 같이 힘겨운 버티기를 하고 있었던 것 같은데....
힘겨운 버티기의 보람도 없이 결국 프로의 세계에서 밀려난 주인공이
다시 '삼미 슈퍼스타즈'라는 흐르는 별을 만나면서 이야기는 역회전볼처럼 또 다시 휘어진다.
말도 안되는 논리, 프로들이 들으면 '패자들의 어이없는 괘변'이라고 말할 수 밖에 없는 논리로
주인공을 설즉하는 조성훈의 모습이, 조성훈의 논리가 허무맹랑하지만은 않은 이유는
어쩌면 나 역시 그의 허무맹랑한 논리만큼이나 허무맹랑한 삶을 살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조성훈의 논리로 또 다시 방향을 튼 이야기는
전혀 상상치도 못한 높이에서 폭포수처럼 떨어져내리는 커브와 같이
전혀 상상하지도 못한 말 그대로의 박장대소로 끝을 맺는다.
웃음으로 시작해 웃음으로 끝내는 그 위대한 수미상관을 완성한 작가의 능력에 찬사의 박수를....
어느 순간 우리에게 '프로'라는 말이 아주 자연스러운 말이 되었다.
최근에 유행한 유행어 중에 '왜 이래? 아마추어같이'라는 말이 있듯이
어느새 우리는 프로가 가지는 가치는 좋은 것이고 긍정적인 것으로 인식하게 되고
'아마추어'라는 말이 가지는 가치는 무시해 버리고 그 말의 의미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소리없이 진행된 두 단어의 위상의 변화에 따라 우리의 삶도 어느새 프로화가 되어 버렸다.
치열한 경쟁이 당연시 되고 잠깐의 여유마저 쓸데없는 것이 되어버려
스스로가 스스로를 채찍질하고 혹사하는 것만이 살길이 되어버린 바야흐로 프로의 시대.
소설의 의미는 우리가 잃어버린 '아마추어'의 미덕에 대한 찬미이다.
'삼미슈퍼스타즈'라는 전무후무한 진짜 '아마추어'였던 '프로야구단'은 그 찬미를 위한 소재이다.
나 역시 '롯데 자이언츠'라는 야구팀의 20년 광팬이다.
그러다 보니 야구가 사람의 인생을 많이 닮았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알고있다.
그래서 더욱 이 소설의 주인공의 유별난 '삼미슈퍼스타즈'에 대한 애정이 결코 낮설지 않다.
나의 사랑하는 '롯데 자이언츠'도 결코 주류가 될 수 없는 비주류이기 때문에 더욱 더 공감이 된다.
내가 '롯데 자이언츠'를 사랑하는 이유도 아마 그 비주류성에 대한 강한 끌림 때문일 것이다.
이제껏 아무것도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없었던 '롯데 자이언츠'에 대한 나의 광적인 애정의 의미를
이 책 한권으로 명확히 깨닫게 되었다.
정말로 기대하지 않았는데 건져올린 기대 밖의 대박 소설이다.
이 작가의 다른 작품들이 찾아서 읽어보고 싶은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