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차
미야베 미유키 지음, 박영난 옮김 / 시아출판사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미미여사의 대표작을 만나다 !!!
[모방범], [낙원]을 통해 접하게 된 일본 추리소설의 여왕, 미야베미유키.
'미미여사'라는 애칭으로 국내에도 많은 팬층을 확보하고 있는 
그녀의 대표작 [화차]를 이제서야 읽게 되었다.
[모방범]과 [낙원]을 처음 보았을 때 책의 두께가 주는 압박감에
쉽게 읽어내기 어려울 것 같은 느낌이 들었는데 [화차] 또한 그 두께의 중압감은 여전하다.
그러나 다른 작품들과 같이 두께의 압박감이 다 읽은 후의 두께의 아쉬움으로 변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책의 두께가 무색할 정도로 빠져드는 소설의 몰입도는 여전히 최고다.
그래서 사람들이 그녀의 작품들에 그렇게 열광하는지도 모르겠다.

지극히 사회적인... 그러나 결코 따분하지 않은....
그녀의 작품들은 지극히 사회적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화차] 역시 신용카드와 대출로 대변되는 소비자 금융의 폐혜를 정면으로 다루고 있다.
자칫 신용카드의 계획적인 사용을 이야기하는 캠페인적인 내용으로 지루할 수 있지만
그녀의 작품은 단 한순간도 그런 지루함을 용납하지 않는다.
쉴틈없이 사건을 이어지게 만들어 긴장감을 높히거나 박진감 있는 전개를 하는 것이 아니라
사건을 둘러싼 수많은 등장인물들과 그들의 심리에 대한 치밀한 묘사,
그리고 등장인물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아주 조금씩 드러내는 사건의 단서들과
그 단서들을 조합해서 사건의 진실을 찾아가는 일련의 과정이 잠시도 눈을 뗄 수 없게 만든다.
지극히 사회적인 내용이지만 또한 지극히 사실적이어서 더욱 무서운 이야기이다.
소설속의 이야기로 치부할 수 없는 것은 너무도 사실적이서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소설에 나오는 주인공들이 결코 과장이나 비약이 없는 인물들이기 때문이다.
극단적인 상상으로 사회문제를 극대화 시키는 것이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상상으로 사회문제를 파헤쳐 나가기 때문에 무서운 것이다.
오히려 소설에 나오는 뛰어난 능력의 형사가 실제로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범인의 실체는 결코 드러날 수 없다는 생각에 몸서리가 처지기도 한다.
그래서 그녀의 작품은 사회적이면서 충분히 매력적인 작품이다.

신용카드... 언제든지 화차(火車}가 될 수 있다 !!!
인간이 만들어낸 문명의 이기들은 모두 양날의 칼을 숨기고 있다.
모든 제도나 문명들이 사람들을 편리하게 만들기 위해서 개발되고 만들어지지만
사람들이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그 이기들이 사람들을 죽이는 흉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신용카드라는 것도 애초의 의도는 인간의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기 위함이지만
카드사의 잘못된 홍보와 사용자들의 한순간의 실수가 돌이킬 수 없는 사건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소설의 주인공들도 '단지 행복해지고 싶었다'는 이유로 사용한 신용카드과 결국 비극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들의 잘못은 물론 있지만 누구나 그런 위험에 노출되어 있기에 누구나 '화차'에 오를 수 있다.
그렇다고 신용카드를 사용하지 말자는 이야기는 절대 아니다.
다만 작가가 의도한 것은 신용카드와 인간의 욕망이 만들어낼 수 있는 비극을 경고하는 것이다.
누구나 언제든지 오를 수 있는 '화차'에 대한 경고. 결코 무시할 수 없는 경고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