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사 쾌인쾌사
이수광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뜻밖의 조선을 만나다.
야사의 재미는 전혀 예상하지 못한 역사를 만나는 데 있다.
대중역사서에서 꽤나 알려진 작가인 저자는 
그동안 정사가 아닌 야사를 주로 다뤄왔다.
역사의 기록에 전혀 등장하지 못하는 여인들을 비롯하여
정사의 기록에서 만나왔던 경건하고 틀에 박힌 역사가 아니라
지금의 우리처럼 웃고 즐기고 까불고 객기를 부리는 생생한 역사를 다뤄왔다.
이 책 또한 저자의 그런 새로운 역사서들 가운데 하나이다.
그가 그리고 있는 조선의 역사는 전혀 예상하지 못한 뜻밖의 조선이다.
그리고 그런 역사는, 그런 조선의 민중은 생생하게 책 속에서 살아난다.

'쾌'인들의 '쾌'사, '쾌'담, '쾌'시
유쾌, 상쾌, 통쾌하다고 말할 때 흔히 쓰이는 '쾌'라는 글자.
조선의 역사를 통해 시대와 시류에 휩쓸린 벼슬아치들을 통쾌하게 조롱하였고
자신의 답답한 상황에 비관하지 않고 유쾌하게 세상을 즐겼던
그런 쾌인들의 이야기가 책 한권에 가득 차 있다.
정사에서는 다룰 수 조차 없었던 자유롭고 상상을 초월하는 조상들의 성적유희 또한 가득차다.
정사에 나오지 않았던 인물들의 수많은 일화들이 '쾌'라는 하나의 주제로 역여져 있다.
정사에 나왔던 인물들이라도 정사에서는 안보여지던 모습들을 통해 색다른 즐거움이 있다.
역사상에서 그들이 그려놓은 치적에 대한 평가는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이 책에서 그려지는 그들의 솔직한 모습은 답답한 현실에서 작은 웃음을 준다.

박장대소 하지 못한 아쉬움. 어디선가 들은 듯 한 이야기.
저자는 조선의 야사에서 박장대소 했다는 이야기들을 골라서 한권의 책으로 만들어 놓았다.
그러나 시대가 달라서 그런지 나와의 웃음의 코드가 달라서 그런지 한번도 박장대소를 하지 못했다.
통쾌한 이야기들은 많이 공감할 수 있었으나 기대만큼 웃음은 얻지 못했다.
하긴 그 시대에는 분명히 이 이야기들은 박장대소를 터뜨리게 만들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 야사를 읽었던 기억이 있어서 그런지 이야기들이 몇개는 들어본 듯 하고 기시감이 생긴다.
아무리 재미있었다고 하더라도 같은 이야기는 여러번 본다면 재미가 없는 건 어쩔 수 없다.
이야기가 전체적으로 짧은 것이란 것도 아쉽다.
물론 야사의 기록이 짧았다 하더라도 작가의 상상력이 좀 더 가미되었다면 더 좋았을 듯 하다.

접하기 힘들었던 조선시대 한시들의 새로운 발견
조선사 수많은 쾌인들은 시를 통해서 세상을 조롱하고 촌철살인의 명시들을 남겼다.
그래서 이 책에는 수많은 한시들이 등장한다.
그런 한시들은 평소에 접하기 힘들었던 것이었고 그래서 이 책의 한시들이 반가웠다.
또한 그 한시들이 감추고 있던 사연들을 함께하다 보니 더욱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세상이 힘들고 세상살이에 지친 우리에게
이 책을 아주 짧은 시간이나마 통쾌함을 느낄 수 있고
키득키득 웃음을 짓게 해주었기에 이 책은 누구에게나 권할 수 있는 그런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