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악의 ㅣ 현대문학 가가형사 시리즈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양윤옥 옮김 / 현대문학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범인은 이미 알고 있다. 그런데 왜?
유명한 작가인 히다카가 어느날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한다.
시체를 발견한 사람은 작가의 아내와 그의 절친한 친구라는 또 다른 작가 노노구치.
노노구치는 자신의 일생에 다시 해 볼 수 없는 경험을 기록으로 남기게 된다.
사건을 담당하게 된 가가형사(붉은 손가락에 나왔던 그 형사)는 수사에 들어가지만
목격자이자 용의자가 되는 부인과 노노구치의 알리바이는 완벽하다.
노노구치와 같은 학교에 있던 경력이 있는 가가형사는 노노구치의 수기를 읽게되고
그 수기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하고 논리적 추론을 통해 노노구치의 알리바이를 깨뜨리게 된다.
결국 범인은 노노구치라는 것이 밝혀지게 되고 경찰에 체포되게 되지만 끝까지 동기를 밝히지 않는다.
친한 친구였다고 하는 노노구치는 왜 히다카를 살해하게 되었는가?
우발적 범행이라고 말하는 그의 진술에 의문을 가진 가가형사는 수사를 계속하게 되고
서서히 그 진실이 드러나게 되는데....
게이고 특유의 형식... 그리고 역시나 멋진 반전.
범인을 미리 알려주는 게이고 특유의 형식이 이 소설에서도 드러난다.
<용의자 X의 헌신>, <붉은 손가락>, <방황하는 칼날>, <백야행> 등의 작품들에서도 그랬다.
범인이 심어놓은 장치들을 교묘히 피해가며 결국엔 범인을 찾아내는 전형적인 추리소설과는 반대로
처음부터 아예 범인을 알려주고 나서 그 사건의 과정을 파헤치는 형식의 추리소설.
게이고가 가장 즐겨쓰는 방식이고 그의 재능이 가장 멋지게 발휘되는 방식임에 틀림없다.
또 하나 게이고 작품들의 특징은 끝에 가서야 드러나는 멋진 반전에 있다.
400 페이지가 되었던 500 페이지가 되었던 결국엔 마지막 단 몇 페이지에서 결론이 뒤집히는 반전들.
<용의자 X의 헌신>, <붉은 손가락>, <비밀> 등의 작품들에서 보여지는 그의 반전 솜씨는
언제나 나로서는 감히 상상도 못할 정도의 반전을 보여주어 뒤통수를 강하게 내려치는 느낌이다.
이 소설에세 드러나는 반전의 묘미도 어떤 작품에 뒤지지 않는다.
물론 가가형사의 입장에서 노노구치를 의심하게 되는 건 어쩔 수 없지만
그 의심에 대한 타당한 이유와 그 속에 드러나는 진실이 보여주는 반전은 독자들의 허를 찌르기게 부족함이 없다.
작가가 써내려가는 작가의 세계.
사건의 피해자가 유명 작가라는 설정이기 때문에 결국엔 작가들의 세계가 그려지게 된다.
유명작가인 히가시노 게이고가 조금 보여주고 있는 작가들의 세계는 그리 좋지만은 않다.
등단 자체가 힘들 수 밖에 없는 치열한 경쟁,
그 과정에서 비리가 끼어들 여지가 있다는 현실,
유명 작가가 되었다 하더라도 어쩔 수 없이 찾아오는 지독한 슬럼프와 유혹,
사실이든 아니든 그 존재가 있다고 생각되는 고스트라이터의 존재까지....
화려하고 자유로운듯 보이는 작가들의 세계에도 그들만의 고민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나의 소설.... 여러개의 이야기.
소설은 히다카를 살해한 노노구치의 살해동기를 밝히는 과정을 그린 추리소설이다.
그러나 그 속에 여러개의 이야기가 존재한다.
유명작가인 히다카의 소설들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그려지는 소설의 줄거리들.
히다카와 노노구치의 과거속에 등장하는 사건들과 그들의 이야기들.
노노구치가 자신의 범죄를 숨기기 위해 만들어내는 허구의 이야기들까지.
하나의 추리소설 속에서 게이고는 참으로 여러가지 이야기를 하고 있다.
한권의 책을 읽었으나 여러권의 책을 읽은 느낌이라고 할까?
그리고 그런 작은 이야기들과 소소한 등장인물들이 하나로 모여져서
결국은 마지막의 반전을 위한 재료로 쓰이는 치밀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노노구치와 가가의 대결... 치열한 두뇌싸움.
자신이 체포될 것 까지 각오하고 만들어 놓은 노노구치의 치밀한 트릭들.
하나의 트릭을 벗기면 또다른 트릭이 나타나고 결국에 그 모든 과정까지 뒤엎는 반전들.
보통의 추리소설에서는 하나도 만들어 내기 어렵다고 하는 트릭들을
여러개나 만들어내고 그 트릭들에 조금의 구멍도 보이지 않게 만드는 게이고의 능력은 대단하다.
노노구치의 수기와 가가형사의 수사기록을 번갈아 보여주며 두 사람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사건.
트릭과 함정들로 가득차 있는 노노구치의 수기와 그 수기에서 틈을 발견해 내는 가가의 수사기록.
두 사람의 시각을 왔다갔다 하면서 소설을 읽다보면 이게 과연 한 사람의 작품인가하는 생각이 든다.
어떻게 한 사람의 작가가 두 사람의 시각을 그렇게 정확하게 묘사할 수 있는 것인지...
노노구치와 가가형사가 벌이는 치열한 두뇌싸움은 소설을 읽는 내내 눈을 뗄 수 없게 만들고
그 대결의 결과 밝혀지는 진실을 접하고 나면 인간에 대한 생각을 다시하게 한다.
인간의 내면에 대한 진지한 성찰
세상을 살아가다 보면 왠지 이유를 알 수 없는 적의를 품는 경우가 있다.
아무런 이유없이 '그냥 보기 싫다', '그냥 밉다'라는 감정을 가지게 되는 경우.
한번도 진지하게 생각해 보지 않았던 그런 악의가 가져올 수 없는 무서운 결과에 대한 경고.
제목에 '악의'라고 당당히 밝히고 있는 이 소설의 주제의식은 가볍지 않은 것이다.
적극적으로 남을 비난하는 인간이란
주로 남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통해 희열을 얻으려는 인종이고,
어디 그럴 만한 기회가 없는지, 늘 눈을 번득이고 있는 것이다.
- P.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