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 어디 가?
장 루이 푸르니에 지음, 강미란 옮김 / 열림원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기 한명의 아빠가 있다.
그의 큰아들은 제대로 걷지도 못하고 일반의 언어를 이해하지 못한다.
정신장애와 지체장애가 함께 있는 최고등급의 장애를 지닌 아들.
하나로도 버거운 그에게 하느님은 또하나의 시련을 더한다.
그의 둘째 아들마저 형과 같은 운명을 가진 장애아로 태어난 것.
하늘이 무너지는 경험을 두번이나 했다는 이 아버지는
자신이 세상에서 가장 비극적이고 감동적인 역할을 강요받았다고 말한다.

너무나 평범한 일상의 일들.
아버지와 아들이 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일들도 그는 하지 못한다. 
캐치볼도 할 수 없고 같이 공원에 산책조차 할 수 없다.
나 자신은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하는 일상적인 일들이 아빠에게는 너무 간절하다.
"아빠, 어디가?"라는 질문을 수없이 반복하는 아들을 쳐다볼 수 밖에 없는 현실.
너무나 평범한 것이 너무나 하고싶은 아빠의 이야기가 안타깝다.

그러나 동정을 구걸하지는 않는다.
아빠의 이야기는 오히려 읽는 사람이 당황스러울 정도로 유머러스하다.
’머리속에 지푸라기 밖에 없는 아이들’이라고 말하는 아버지.
자신의 아들들을 가지고 모임의 분위기를 띄우는 아버지.
당황스러울 정도로 자신과 아들들을 비하하는 아버지의 모습은
아들들을 제대로 낳아주지 못한 자신에 대한 자책감의 표현이다.
그런 현실에서 아들들에게 천사표 아빠가 되어주지 못하는 자신에 대한 비히이다.
그래서 그의 그런 유머러스한 표현들이 더욱 아프게 느껴진다.

그러나 내가 기대했던 책은 아니었다.
장애를 가진 아들을 둔 아버지로서 장애를 현실로 직시하고
아들의 장애를 이겨내기 위해 함께 노력하는 과정에서 감동을 느끼고 싶었는데...
어쩌면 나 역시도 책속의 아빠에게 ’감동적인 역할’을 강요하고 있었던 것이었던가?
장애를 가진 아빠의 감독적인 이야기를 예상한 나의 기대는 여지없이 빗나갔다.
그런 기대가 어긋난 것은 나 자신의 실책이라 할 지라도
책의 전반을 거쳐 아이들의 이야기가 아닌 자신의 넋두리를 하는 듯한 모습은
별로 마음에 들지 않는다. 자신의 처지에 대한 넋두리로 일관한 아쉬움.
현실을 직시하지 않고 조소하는 듯한 태도 또한 마음에 들지는 않는다.
비록 그 조소의 의미가 큰 의미가 있다 하더라도 말이다.

세상 사람들은 모두 ’모성애’를 찬양하고 어머니의 사랑을 노래한다.
그러나 그런 분위기 속에서 상대적으로 그 가치가 평가절하 되는 것이 ’부성애’이다.
가정 내에서 아빠의 역할이 적어지고 아버지의 부재가 심화된 요즘 같은 세상에서
이 책은 겉으로 드러내지는 못하지만 그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 아빠의 마음을 엿볼 수 있다.
잠깐의 시간만 투자하면 우리가 몰랐던 아버지를 만나는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그 하나의 의미만으로도 이 책은 읽을 만한 가치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