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뇌 1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천재의 죽음.... 그 죽음의 실체는?
천재적인 정신과 의사이자 세계 체스 챔피언인 사뮤엘 핀처.
최강의 컴퓨터라는 'DEEP BLUE IV'와의 대결에서 승리하고 최고의 자리에 오른 그는
'인간의 행동을 일으키는 동기'에 대한 연설을 한 후 그날 저녁 죽음을 맞는다.
그녀의 애인과의 정사중에 최고의 쾌락의 순간에 죽음을 맞이한 복상사.
모두가 그렇게 받아들이는 그의 죽음에 의문을 품게 된 전직 기자출신의 이지도르.
그는 그와 함께 모험을 한 적이 있는 여기자 레퀴레스과 함께
천재의 죽음에 대한 진실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는데...
나선처럼 꼬인 두개의 이야기... 그리고 하나의 결말.
소설은 두가지 이야기를 흡사 DNA의 나선구조처럼 전개하고 있다.
사뮤엘 핀처의 죽음을 파헤치는 레퀴레스와 이지도르의 모험담.
LIS(Lock In Syndrom)에 빠진 환자인 장 루이와 사뮤엘 핀처의 만남을 통한
치유과 우정과 인간의 뇌에 대한 탐구에 대한 이야기.
서로가 접점이 되는 사뮤엘 핀처의 이야기가 중심이 되어 풀어나가는 이야기는
결국 인간의 모든 것을 지배하는 뇌와 그 주인인 인간의 투쟁으로 귀결된다.
인간과 인간의 의식을 이식받은 기계의 대결이 흥미진진하게 그려진다.
뇌과학의 최신정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탄탄한 이야기
나 자신은 전혀 알지 못했던 뇌과학의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멋진 이야기를 완성했다.
진짜로 우리의 뇌라는 것이 그리도 복잡하고 민감한 존재였다는 사실은 충격이다.
인간의 오만함은 점점 더 컴퓨터에 인간의 의식을 이식하려 하고 있으며
그러한 시도들은 우리가 전혀 모르는 사이에 이미 많은 성과들을 내고 있다.
해외토픽에서 잠깐씩 스쳐지나가는 이야기들이 얼마난 중요한 의미인 것인지...
이제 인간의 오만함은 기계의 역습으로 심판을 받을 날이 얼마남지 않은 듯 하다.
인간의 편견으로 잃어버리게 된 인간의 가능성
모두들 꺼리고 피하고 있는 격리하는 정신병자들 또한 그들만의 능력이 있다.
그들의 장애를 배척하지 않고 그들의 능력을 발휘하게 해 주었을 때
그들의 보여준 능력은 스스로 정상이라 믿고 있는 사람들보다 훨씬 뛰어나다.
인간의 광기 조차 인간의 뇌과 발휘하는 또하나의 능력이라는 생각.
인류의 수많은 역사를 통해 흔히 정상이라고 여기는 이들에 의해
얼마나 많은 인간들이 그들의 재능과 함께 묻혀 버리고 말았는지...
인간이 인간을 판단한다는 것 자체가 오류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 오류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그들의 재능을 발휘하게 하는 시스템.
그런 사회 제도를 갖출 수 있는 방법을 만들어 내고자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언제나 그렇듯 베르나르의 이야기에는 약간의 비약이 있다.
LIS 환자인 장 루이가 단지 컴퓨터에 연결하는 것 만으로
뇌과학과 정신의학의 최신 정보들을 모두 알아낼 수 있고 이해할 수 있었다는 설정.
그들이 '아테나'라는 '인공의식'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설정.
컴퓨터를 전공하는 입장에서는 너무 황당하기까지 하지만 이해할 만 하다.
그 보다는 그가 전하는 이야기가 너무도 재미있고 흥미로운 것이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