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의 인연 1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양윤옥 옮김 / 현대문학 / 200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먹구름이 가득끼어 별빛마저 보이지 않던 밤에
고이치, 다이스케, 시즈나는 유성을 보러 부모님 몰래 집을 나섰다.
그러나 결국 유성은 보지 못했고 집으로 돌아온 3남매를 기다리는 건
참혹한 강도살인에 의해 처참하게 살해된 부모님의 시체였다.
비극적 사건의 피해자가 되어버린 3남매는 세상에 홀로 남겨진다.
누구의 도움도 받지 못하고 세상에 던져진 3남매는
시즈나의 미모와 다이스케의 뛰어난 연기력, 고이치의 치밀한 작전을 무기로
최강의 사기단이 되어 살아가게 된다.
마지막 사기의 대상으로 <도가미 정>이라는 음식점의 아들을 지목하고
사상 최대의 사기극을 벌이기 위해 그에게 접근한 3남매 앞에 
다이스케가 비극의 그날 밤 목격한 범인이 나타나게 된다. 
바로 사기 대상의 아버지인 도가미 마사히로.
심증은 없지만 물증이 사라진 14년전 사건의 범인을 마주하게 된 3남매는 복수를 계획하고...

오래간만에 다시 게이고다 !!!
<용의자 X의 헌신> 이후 한 때 그의 책에 미친 적이 있었다.
워낙에 다작인 작가라서 읽어야 할 작품들이 너무 많았고 그런 다작속에서도 실망은 없었기에
한동안 나는 그의 매력에 빠져 허우적 거렸다.
그러나 그의 작품을 많이 읽으수록 익숙해지는 그의 스타일에 조금은 지쳐서 그의 작품을 멀리했다.
그리고나서 정말 오래간만에 다시 그의 작품을 만났다. 그의 최신작인 '유성의 인연'.
발간 되자마자 일본에서 드라마로 제작되어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고 그래서 드라마가 먼저 알려진 작품.
그 작품의 원작소설이 나오자 마자 난 기대했고 드디어 읽었다. 그리고 다시 또 그에게 빠져들었다.

복수... 그리고 사랑.
<백야행>에서 범죄의 늪에 빠진 채 안개속을 걷듯 '하얀 어둠속을 헤매는' 청춘을 그렸던 게이고.
그 책을 읽으면서 20년 이라는 긴 세월동안 그들의 변하는 모습을 보면 많은 공감을 가졌던 기억이 있다.
이 소설은 참혹한 범죄의 피해자가 되어버린 어린 3남매의 14년전의 복수극을 그리고 있다.
그래서 대체적인 분위기가 <백야행>과 많이 닮아있다. 물론 내용은 전혀 닮지 않았지만 분위기가 많이 닮았다.
사기를 치려던 대상의 아버지가 자신들의 부모를 죽인 범인이라는 것을 알게되고 복수에 나서는 3남매.
그러나 사기를 치기 위해 접근했던 그 살인자의 아들에게 사랑을 느끼게 된 시즈나.
부모에 대한 복수와 그 대상에 대한 사랑으로 방황하게 되는 그녀의 모습을 보면서 안타까움을 느낀다.
언제나 그렇듯 사랑은 정말 대상도 가리지 않고 때와 장소도 가리지 않고 벼락처럼 찾아오는 것이다.

정신없이 빠져드는 이야기
게이고의 가장 큰 장점은 역시 시간 자는 줄 모르게 빠져드는 이야기의 힘이다.
<용의자 X의 헌신>이 그랬고 <방황하는 칼날>이 그랬던 것 처럼 그의 스토리텔링은 정말 매력적이다.
어려운 말도 없고 수려한 미사어구도 없이 쉽고 간결한 언어로 풀어나가는 이야기지만
한번 빠지면 헤어나지 못할 정도로 강한 흡입력을 가지고 있다.
정신없이 빠지게 만드는 이야기 속에서 스쳐가듯 가볍게 던져 놓은 작은 단서들이
결국에 사건의 해결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단서가 되어 독자의 뒤통수를 때리는 그의 반전은
언제나 예상을 하고 있으면서도 언제나 그의 의도대로 놀아나게 되는 허탈함에 빠지게 한다.
이 소설 또한 반전을 예상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반밖에 맞추질 못했다.

추리소설... 그속에 담은 사랑과 가족애
분명 이 소설은 추리소설이다. 14년 전에 일어난 살인사건의 실체를 파악해 나가는 형식이기 때문이다.
추리소설 자체로의 매력만으로도 정말 뛰어난 소설이다.
범인의 트릭이나 허를 찌르는 반전, 군데군데 던져놓은 복선들의 재조합.
정말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게 잘 만들어진 추리소설이다.
그러나 언제나 그렇듯 게이고는 자신의 작품을 추리소설로 만족하지 않는다.
이번엔 추리소설에 가족애와 사랑을 담아냈다.
범죄의 피해자가되어 세상에 던져진 3남매의 가족애. -비록 그들이 사기꾼이 되었기는 하지만 -
끝내 밝혀진 범인의 범행동기에 담겨진 슬픈 가족애.
그리고 원수의 자식을 사랑하게 된, 로미오와 줄리엣을 닮은 아픈 사랑까지....
역시 추리소설 하나로는 절대로 만족을 못하는 작가이다.

HAPPY ENDING !!!
이 책이 왜 그렇게 드라마로 성공할 수 있었는지는 쉽게 알 수 있다.
우선 14년이라는 시간의 공백은 드라마로 만들었을 때 수많은 에피소드를 만들어 낼 수 있다.
3남매의 완벽한 팀웍은 한편의 범죄영화를 보는 듯한 착각을 일으킬 정도이다.
인간의 원초적인 감정을 자극하는 복수라는 키워드와 빠질 수 없는 남녀의 사랑까지...
소설 자체로 완벽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드라마 작가가 수많은 이야기를 덧붙여 넣을 수 있는 여백을 많이 남겨두었다.
거기다 덤으로 Happy Ending과 사필귀정의 이야기까지... 
정신없이 읽고나서 작은 미소를 남길 수 있게 하는 소설이다.
지금까지 게이고의 소설을 읽으면 항상 안타까움이 많이 남았는데
이런 Happy Ending은 그의 작품에서는 처음으로 만난 느낌이다.
그래서 더욱 이 소설이 마음에 드는 것 같다.

지금까지 읽은 그의 작품중에서 손가락안에 들 작품이다.
아니. 감히 <용의자 X의 헌신>을 능가하는 작품이라고 평가하고 싶다.
올해 들어 읽은 책 중에서 가장 재미있었던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