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중지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음날, 아무도 죽지 않았다.
인류가 시작된 이래 수많은 사람들이 꿈꾸었으나 결국엔 좌절했던 소망.
영생의 꿈이 어느날 모두에게 내린 신의 은총처럼 찾아왔다.
모두가 기뻐하고 축복해야 할 것만 같은 기적같은 사건은 
그러나 예기치 않은 문제들을 일으키게 된다.
졸지에 실업자 신세가 되게 된 장례업자들,
죽어야 할 이들이 죽지않아 포화상태가 된 병원과 양로원들,
그 존재의 의미마저 사라질 위기에 처한 종교계와
죽음을 밑천으로 막대한 이익을 챙기던 생명보험 회사들...
전혀 예기치 못한 죽음의 중지가 그들에겐 예기치 않은 문제들을 일으킨다.
축복의 시간이어야 할 시간들이 국가의 위기로 다가오게 되는데...


비현실의 극단에서 현실의 문제를 파헤친다 !!!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눈 먼 자들의 도시]에서와 마찬가지로 노벨상을 수상한 이 대 작가는
이 책에서도 현실에서 절대적으로 일어날 수 없는 비현실의 극단으로 상황을 몰아간다.
누구나 원하지만 아무도 누리지 못한 영생을 배고픈 강아지에게 뼈다귀 던져주든 휙 던져놓는다.
그리고 그 비현실의 극단에서 인간 군상들이 보여주는 모습을 통해서 인간의 본질을 이야기한다.
[눈 먼 자들의 도시]에서 윤리나 도덕이라는 허울에 덮힌 인간 본성의 잔인함과 나약함을 고발했다면
이 작품에서는 인간이 만들어 놓은 사회와 국가, 종교와 철학, 제도와 생활방식의 본성을 고발하고 있다.
모두가 축복해야 할 사건인 죽음의 중지로 인해 타격을 받는 것들은 결국 인간이 만들어 낸 제도들이다.
장례업자, 병원, 양로원, 종교, 보험 등등...
인간이 살아가는 데 있어서 편리함을 도모하기 위해서 만들어 놓았던 모든 것들이 
죽음의 중지와 함께 심각한 문제들을 야기하게 된다.
비현실의 극단으로 몰아부쳐 현실의 가치와 제도에 대한 전복된 의미를 파헤쳐내는 작가의 힘.
그래서 그의 작품은 언제나 그렇게 독자들에게 숨겨진 자신의 본성을 관조하게 만드는 것인가 보다.


죽음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고찰

모든 사람들은 죽음을 두려워하고 피하려고 한다.
그러나 과연 죽음이 사라진 세상은 행복하기만 할 것인가?
책에서 그리고 있는 죽음의 파업의 결과는 결코 행복하지만은 않다.
모두가 두려워하고 모두가 없어지기를 바라는 죽음 또한 사회적 역할이 있기 때문이다.
고인 물이 썩어가듯이 죽음의 파업이 부른 세대의 정체는 수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모두가 욕하고 모두가 저주하는 죽음이지만 죽음은 묵묵히 인간의 사회를 위해 제 역할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모두가 잊고 있고 모두가 생각하려 하지 않았던 죽음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고찰.
삶의 황혼기에 서 있는 노작가의 삶과 죽음에 대한 성찰과 그가 전하는 메시지는 그래서 더욱 무겁게 느껴진다.
그러나 연륜이 묻어나는 노련한 솜씨로 그 무거운 주제마저 한가닥 유머에 실어 전하고 있어서 읽는데 어려움은 없다.


죽음의 입장에서...

소설의 전반주가 죽음의 파업으로 야기된 혼란과 그 대처를 통해 인간의 모습을 파헤치고 있다면
소설의 후반부는 죽음이 주인공이 되어 우리가 전혀 알지 못하는 죽음의 이야기를 전한다.
죽음을 하나의 개념이 아니라 실체를 지닌 여성으로 의인화하여 죽음이 바라보는 삶을 이야기 한다.
소설의 발단의 된 죽음의 파업도 따지고 보면 자신의 역할은 인정하지 않은 채 원망만 늘어놓는
인간 군상들에 대한 거친 항의의 표시이며 자신에게 그 역할을 맡긴 그 무언가에 대한 반항이기 때문이다.
모두가 저주하기만 했던 죽음의 이야기를 통해 죽음이 결코 나쁜 것만은 아니라고 항변한다.
그래서 이 책을 다 읽고나면 왠지 죽음과 술 한잔 나눈 기분이 든다.
'그래 너도 참 맘 고생이 심했겠구만...'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희석시키는 중화제 같은 이야기

인생의 황혼기에 접어든 작가가 삶을 정리하는 시기에 결국 마주하게 되는 죽음.
모두가 두려워하고 모두가 원망하기만 하는 죽음에 대한 작가는 이미 자신의 친구로 만들어 버린 듯 하다.
무섭다고, 억울하다고 반항하며 멀리하기 보다는 오랜 친구를 만나 듯 죽음을 맞을 각오가 되었나 보다.
아직은 살아야 할 날이 더 많는 내 입장에서는 아직 그런 경지까지는 이루지 못하겠지만
그래도 조금은 덤덤한 마음으로 죽음을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의 전환의 계기는 되었던 것 같다.


아쉬움이 남는 마지막

'다음날, 아무도 죽지 않았다'는 말로 끝나고 마는 마지막은 아쉬움이 남는다.
작가의 매력은 상상력의 극한에서 인간의 본성을 파헤치는 것이라 생각하는데
이 작품은 그런 부분이 너무 적었던 것 같아서 아쉬움이 남는다.
비현실의 극단에세 인간을 파헤치는 부분이 반 정도 밖에 되지 않았고 나머지는 죽음의 이야기로 채운다.
물론 죽음에 대한 성찰과 죽음의 이야기도 많은 생각을 가지게 하지만
'주제 사라마구'라는 이름에 대해 걸었던 기대는 인간에 대한 통찰이 더욱 컸었기에 아쉬운 것은 어쩔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