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서
한호택 지음 / 달과소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제의 무왕은 참으로 많은 소설과 영화와 드라마의 주인공이다.
그만큼 그의 출생과 성장과 사랑이 극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기 때문일 것 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가장 큰 원인은 '서동요'라는 연서 때문이다.
이 소설은 '연서'라는 제목에서 의도하는 대로 서동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팩션이다. 

몇년 전 인기를 끌었던 '서동요'라는 드라마의 배우들과 매치가 되어 좀 힘들었다.
그러나 드라마와는 다른 해석과 백제의 영역을 일본에 까지 확장시킨 상상력,
도자기와 장사를 통한 깨달음과 가르침 등 나름 재미있는 부분이 많아 쉽게 읽을 수 있었다.
장점이 참 많은 소설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아쉬움이 더 많은것이 사실이지만... 

팩션이란 말 그대로 사실과 상상의 위험한 줄타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이 소설을 그리 성공하지 못했다.
무왕, 선화공주, 서동요, 아좌태자라는 사실만 있을 뿐 나머지는 모두 작가의 상상이다.
소서노의 검이 그렇고 아좌태자와 해왕비의 인연이 그렇고 목왕비와 해왕비의 대립니 그렇다.
이야기의 대부분이 작가의 상상으로 메워지다 보니 이미 사실은 비중이 없어지고 말았다.
결국 상상만 있고 사실이 없는, 팩션이라기 보다는 그냥 소설에 가까운 책이 되고 말았다. 

정통 소설은 처음으로 쓴다는 작가이기에 자신만의 문체를 기대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소설을 읽는 내내 작가 '김훈'의 문체와 너무 닮아 있는 모습에 실망했다.
나름대로 생각하기에 김훈의 건조하고 간결하면서도 힘이 있는 문체는 역사소설에 잘 맞는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소설처럼 전쟁이야기가 아닌 사랑이야기를 하고자 한다면 그 문체는 전혀 맞지 않는다.
그러다보니 소설을 읽는 내내 너무도 건조해 감정이입이 쉽지 않은 문체 때문에 몰입이 힘들었다.
초보 소설가의 한계일 수도 있겠지만... 

이야기의 전개가 너무 허술한 것도 문제이다.
마치 학교 미술시간에 찰흙을 붙이기 전에 뼈대만 만들어 놓은 입상을 보는 느낌이다.
충분히 재미있고 흥미로운 이야기 전개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뼈대만 만들어 놓고 어딘가에 쫓기듯 다른 사건으로 넘어가는 구성이 조금 어이없기도 하다.
한마디로 살이 없는 소설이라고 할까? 영화로 본다면 스토리보드만 가진 초기 기획단계 시나리오 같은 느낌.
소설의 살이라고 할 수 있는 에피소드가 너무도 빈약하다.
작가의 한계인지 지면의 한계인지... 차라리 몇권으로 분량을 늘리더라도 보다 풍부한 에피소드가 있었으면....
팽팽한 긴장을 이루던 해왕비와 목왕비의 싸움이 단 몇 페이지에서 정리되는 부분은 정말 황당하다. 

작가의 첫번째 소설이라고 감안한다 해도 조금은 부족한 소설이다.
이 뼈대를 가지고 보다 많은 에피소드로 보다 많은 분량의 소설로 나온다면 참으로 좋을 것 같다.
그저 아쉬움만 남기고 넘어가기엔 작가가 많든 이 뼈대는 너무도 훌륭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