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상의 괴수 무벰베를 찾아라 - 와세다 대학 탐험부 특명 프로젝트
다카노 히데유키 지음, 강병혁 옮김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Congo Drangon Project' ???
'콩고', '괴수', '탐험'.... 정말 황당한 이야기 아닌가?
콩고의 텔레호라는 호수에 '네스호의 괴물'과 비슷한 '무벰베'라는 괴수가 산다.
초등학생때나 흥미를 가질 수 있었던 이야기. 설령 관심이 있다해도 진짜 찾아나서지는 못할 이야기.
그런데 초등학생도 아닌 대학생들이 이 황당한 얘기의 진실을 찾아 탐험에 나선다.
장난으로 해보는 소리가 아니다. 이리저리 협찬을 받아 온갖 장비를 갖추고 진짜 탐험이다.
이 황당한 이야기를 믿어야 하나? 그런데 이 책에서는 이 황당한 이야기를 너무 자연스럽게 한다.
뭐 이런 책이 다 있나? 허허... 

'아프리카 오지에 괴물이 산대, 보았다는 사람들도 많고 탐험대도 많고... 정말 있을지도 몰라'
'그런데 책이나 보고서 만으로는 도저히 나의 호기심의 충족되지 않아'
'내 눈으로 직접 보지 않고는 괴물이 있다고도 못하겠고 없다고도 못하겠어'
'그래, 직접 가보는 거야. 계획? 모르겠는데 일단 부딪쳐 보는거야!!!'
정말로 청준이기에 할 수 있는 발상이고 젊음이기에 내놓을 수 있는 무모함이다.
그 무모함이라는 것을 이제는 함부로 내놓을 수 없는 지금의 나이에서는 눈물이 나게 부러운... 

수많은 난관을 거치고 도착한 텔레호에서 또다시 이어지는 역경들.
가이드들의 반란, 기기들의 고장, 대원들의 발병, 마을 주민들과의 분쟁들.
혹시나 기다리지만 나타나지 않는 괴수에 대한 실망과 허무함.
그 모든 것들이 그들의 앞을 가로막지만 이 무모한 악동들은 굴하지 않는다.
결국 그들이 가지고 돌아온 것은 지금의 내가 보기엔 너무도 허무하고 가치 없는 것이지만
악동들에게는 세상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귀한 것이었다. 그들에겐 젊음이 있기에. 

애초에 그들이 찾으러 떠난 것은 괴수 '무벰베'가 아닌 것인지도 몰랐다.
물론 진짜로 괴수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기대가 분명히 있었을테지만
그들이 떠나는 여정은 '진실을 찾아 떠나는 여정' 이었을 것이다.
'누군가의 말이나 책에 의해서 이미 진실이라 믿어지는 진실'이 아니라
'자신들의 몸으로 자신들의 피와 땀을 흘려 스스로 체득한 참된 진실'을 위한 여정.
결국 그들의 각자가 찾고자 했던 그 '참된 진실'을 찾아서 돌아올 수 있었다.
정말 부러운 악동들.... 

무벰베의 존재가 밝혀지지 않는 결론을 어쩌면 가장 좋은 결말이었을 것 같다.
실제로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사진에 찍혀서 세상에 드러나는 순간 그 의미가 사라질 것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과학적 사고에 의해 괴수의 존재를 믿지 않지만
이 악동들은 그래도 괴수의 존재를 믿고 있다.  그들의 믿는 것은 과학적 사고가 아닌 순진한 꿈이었기 때문이다.
그들이 살아가는 한 꿈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나의 전공은 '전산학과'이다. 그리고 대학 동아리도 '프로그램 동아리'이다.
그리고 그 곳에서 난 무수히 많은 것들을 배웠다.
선배, 동기, 후배들과 수많은 밤을 새우며 프로그램을 하고 술을 마시고 뒹굴면서
세상을 사는 방법도 배우고 지금의 나의 밥벌이인 프로그래머의 기초도 배웠다.
학과에서 배운 것 보다 그때 그 많은 밤을 뒹굴며 배운 것들이 더 많았다.
나의 대학생활을 기억해 보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바로 동아리 였다. 

이 책의 악동들도 와세다 대학의 '탐험동아리' 소속의 악동들이다.
추천사에서 미미여사(미야베미유키)가 궁금해 했던 대학 동아리의 모습.
왜 그들이 그렇게 끈끈하고 단단하게 뭉쳐질 수 있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이 책을 읽으면 저절로 이해가 간다.
이 책을 읽는 내내 나 또한 나의 대학생활을 지배하다시피 한 그 시절의 동아리를 추억할 수 있었다.
이 책의 악동들처럼 해외 탐사라는 거대한 프로젝트는 아니었더라도
크고 작은 행사들을 준비하고 수많은 밤을 새우며 만들어졌던 수많은 추억과 끈끈한 정을 회상할 수 있었다.
눈가에 그리움의 눈물이 한 방울 맺힐 정도.... 

아직은 체제가 잡히지 않은 콩고라는 나라에서 그들이 했을 고생은 이해가 된다.
그러나 조금은 오만한 듯한 태도로 그들의 나라를 무시하는 듯한 말투와 태도는 마음에 들지 않는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말로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유쾌하고 발랄한 모험기이다.
이 한여름. 콩고의 정글로 괴수를 찾아떠나는 여정에 기꺼운 마음으로 동참하기를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