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傳 - 역사를 뒤흔든 개인들의 드라마 같은 이야기 한국사傳 1
KBS 한국사傳 제작팀 엮음 / 한겨레출판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를 뒤흔든 개인들의 드라마 같은 이야기 

우리는 흔히 역사라 하면 역사속 유명한 인물들이
나라를 세우고 전쟁을 하고 나라를 빼앗고 나라를 지키고
권력을 다투고 권력을 위해 죽이고 죽는 왕조사 중심의 이야기를 생각한다.
그러나 결국 우리가 간과하는 것은 아무리 위대한 역사라해도 그것은 결국 개인의 이야기라는 것이다.
나의 이야기가 우리 가족의 이야기가 되고 우리 마을의 이야기가 되고
우리고장의 이야기가 되고 우리나라의 이야기가 되고 결국 시간의 흐름속에 역사가 된다.
그렇기에 역사속 개인의 이야기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힘을 지녔다.
이 책은 그런 개인의 이야기에 주목했고 인물에 촛점을 둔 시각으로 역사를 이야기 한다.
 

스치듯 지나갔던 인물들의 이야기를 되새김질 한다. 

나름 역사에 관심이 많았고 대중역사서를 즐겨읽는 나에게
이 책에 나오는 인물들은 거대한 왕조사나 통사속에서 한번씩 들어봤던 인물들이다.
그렇듯 나에게 스쳐 지나갔던 인물들이 이 책을 통해 다시 한번 나에게 다가왔다.
처음 알게 된 '홍순언'이라는 외교관. 소설에서 스쳐 지나갔던 '리진'이라는 여인,
장군과 제왕이라는 책에서 읽었던 제왕 '이정기', 그저 배신자로 알고 있던 '신숙주',
교과서에서 조차 죽어있던 '이준'열사, 아들을 죽인 매정한 아버지였던 '영조',
드라마 '대장금'에서 왜곡되었던 '김만덕', 이름조차 몰랐던 '덕혜옹주',
김옥균을 죽인 지독한 보수주이자 '홍종우', 생각보다 위대했던 장군 '신유'까지...
여러 권의 역사서 또는 드라마 또는 소설 또는 다큐멘터리에서 스쳐갔던 10명의 인물들이
당당히 주인공이 되어 자신들 주변의 역사를 만들어 가고 역사를 만들어가는 과정이 그려진다.
그리고 그들의 삶이 오늘날 우리에게 남긴 의미에 대한 고민을 던져준다.
 

과거의 역사속에 오늘의 모습을 비춰 본다. 

10명의 이야기를 읽어가다 보면 그 시대의 상황이 답답하게 느껴지고
안카까움과 분노와 슬픔과 연민이 함께 찾아온다.
그와 동시에 오늘의 모습과 자연스럽게 비교되는 모습에 두려움이 느껴진다.
'역사는 반복된다'는 비논리적이지만 섬뜩한 진실에 두려워 진다.
몇 백년전 몇 십년전에 우리의 선조들이 범했던 우를 되풀이 하는 지금의 모습.
무한한 반복이라 할지라도 그 속에 조금씩 나아지는 모습이 있어야
역사의 발전이라는 것이 있을 수 있는데 지금의 우리는 그렇지 않은듯 하다.
답답한 무한반복처럼 느껴질 뿐....
 

다큐멘터리의 한계를 느낀다. 

공영방송 KBS에서 만든 다큐멘터리가 이 책의 모태이다.
그렇기에 다큐멘터리의 한계가 느껴진다.
방송 시간의 문제, 주류 사학의 반발에 대한 우려, 급진적 주장을 할 수 없는 공영방송의 한계.
책을 읽다보면 조금만 더 파헤치고 조금만 더 주장을 펼 수 있는 부분이 많은데
어느 한계가 되면 스스로 꼬리를 말아버리는 모습이 눈에 띈다.
방송의 한계이고 다큐의 한계일 것이다.
또한 작가가 따로 없이 KBS 제작팀이 저자이다 보니 주관이 없는 것이 아쉽다.
작가가 있는 다른 교양역사서들이 작가 특유의 역사관과 주제의식이 있는 것에 비해
이 책은 사실의 나열과 심층적인 취재는 좋은데 그게 전부이다. 아쉽다.
 

개인의 역사에서 희망을 본다. 

이 책에 나오는 개인들은 모두 역사적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약소국의 외교관, 천한 관기, 패망한 나라의 유민....
그러나 그들은 그런 한계들을 이겨내고 자신만의 역사를 창조했다.
그리고 그 역사들이 모여 시대의 역사를 바꾸기도 했다.
이 점에서 나는 희망을 본다.
오늘낭 위정자들의 모습이 그 때의 모습과 비슷하고 답답하지만
나 스스로의 역사를 만들어 가고 그 개인의 역사가 보인다면
먼 훗날 조금은 달라진 미래가 후손들에게 전해질 거라는 희망이다.
그래서 오늘도 열심히 살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