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인 오늘의 일본문학 6
요시다 슈이치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표지에 나타나는 포스가 장난이 아니다. '이 책을 읽지 않으면 넌 악인이될거야'라고 협박하는 듯한 강력한 끌림에 이끌려 책을 들었다. 요즘의 추리소설들, 특히 일본 소설들은 추리소설의 기본적인 구조를 헤체해 나가는 것이 유행인가 보다. 히가시노 게이고처럼 요시다 슈이치도 처음부터 범인을 아예 드러내놓고 있다. 그 말은 이 책의 내용이 사건의 해결이 아니라 등장인물의 사정이 주가 될 것이라는 얘기다. 예상대로 책의 내용은 범인이자 주인공인 유이치의 삶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어릴적 부모에게 버림받은 상처를 안고 외로움에 몸부림치다 그 외로움이 원인이 되어 순간 실수로 살인을 저지르게 되는 유이치. 처음에 작가는 유이치를 아주 잔인한 인상으로 묘사한다. 그래서 이 악인의 모습을 보여주려 하는 소설인 줄 알았다. 그러나 내용이 진행되면서 유이치의 삶이 하나씩 이야기되면서 과연 그가 '악인'이라고 불리어야 하는가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 그의 삶을 따라가다보면 오히려 그를 버린 그의 어머니가, 그에게 죽임을 당한 요시노가, 또한 요시노를 가지고 놀았던 마쓰오가 오히려 그보다 훨씬 '악인'이라는 생각이 들게 만든다.  

 언제나 그렇듯 선과 악의 구분은 겉으로 들어난 모습, 세상의 이슈로 만들고자 하는 고의적인 왜곡에 의해 진실이라 선전되고 있는 거짓들에 의해 판단되고 있다. 결국 겉으로 들어난 모습에서 유이치는 평범하게 살아가는 불쌍한 보험설계사를 산으로 유인해 잔인하게 살인하고 불쌍한 옷가게 점원을 납치해 도피행각을 벌이는 최고의 '악인'의 모습을 보이고 있으니 말이다. 그 속의 사정은 아무도 모른다. 

 추리소설이라고 하기엔 참 애매하다. 경찰의 모습이 보이고 있으나 특정 인물이 없다. 탐정이나 형사의 존재는 보이지 않는다. 그저 경찰이 좁혀오고 있다는 암시뿐. 기발한 추리나 천재적 재능이 없어도 누구나 범인을 찾을 수 있도록 허술한 범행. 어쩌면 대부분의 살인사건이 그렇치 않을까? 그 점에서 이 작품은 사실적이다. 그러나 그래서 이야기가 재미가 없다. 추리소설로 보았기 때문에.

 그게 한계다. 유이치의 모습에 연민을 느끼지만 그의 행동을 이해할 수는 없다. 단 며칠만 있었으면 모두가 해피엔딩이었을 이야기가 안타까운건 사실이지만 내가 보기엔 유이치는 악인이다. 아무리 상황이 사건을 만든다 하더라도 누구가 그렇게 하지는 않으니까. 다른 방식으로  해결할 길이 얼마든지 있었으니까. 그래서 이 책은 나의 공감을 이끌어내기에 2% 부족하다. 선과 악에 대한 구분도 지나치게 명확하다. 그래서 더욱 공감이 부족하다. 실제로 인간은 그렇게 명백히 구분되지 않는다.가끔은 선하고 가끔은 악하니까. 너무 인의적인 인물들이 조금은 실망스럽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평균 이상의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