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은 대륙의 지배자였다 우리 역사 바로잡기 1
이덕일, 김병기, 신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직도 우리의 학교에서 제대로 다뤄지지 않는 고조선.
단군의 신화는 허황된 옛이야기 정도로 치부되고
중국인들을 두려움에 떨게하고 쥬신제국의 지배자였던
치우천왕은 무시무시한 모습의 도깨비로 붉은악마의 상징으로 전락해 버린
우리역사의 가장 우대한 시기였던 고조선의 이야기를
철저한 고증과 발품을 아끼지 않는 답사로 써내려간 역사서다. 

일제의 식민사관의 잔재로 인해
조선의 문약한 사대부들의 모화사관에 의해
우리 역사의 웅대함을 저술한 책은 위작으로 의심받거나 실전되어 버리고
중화사상으로 가득찬 중국의 사서만을 정사로 생각하게 됨으로써
스스로 우리의 역사를, 우리의 대륙을, 우리의 제국을 잃어버린 현실이 안타깝다. 

아직도 위작이라고 받아들여지는 '한단고기'를 읽으면서
이게 진정한 우리의 역사임을 알았는데 그 내용이 너무 어려워 힘들게 읽은 기억이 난다.
이 책은 그때의 너무 어려워서 이해하지 못했던 부분들까지
최대한 쉽고 평이하게 써 내려가 읽기에 어려움이 없었던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모화주의 사학자 김부식의 '삼국사기'에 의해 훼손된 기록이
그들이 성전처럼 받드는 중국의 사서들의 기록을 통해서
하나씩 통쾌하게 부정되고 새롭게 써지는 것을 보면서 일종의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한다. 

'한단고기'의 내용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기에
새로운 책이라기 보다는 '한단고기'의 해설서에 지나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든다.
이덕일 선생의 책을 무척 좋아하기에 망설임 없이 선택한 책이었는데
정작 이덕일 선생의 글은 별로 없었던 것 같아서 아쉬움과 약간의 배신감이 든다.
(설마 이덕일 선생을 상업적으로만 이용한 건 아니겠지.) 

그러나 이 책의 성과는 작지 않다.
위서 논란이 있는 '한단고기'의 내용들이 거짓이 아님을 논증하였고
아직도 중국에 남아있는 고조선의 유적들을 통해서
중국의 동북공정과 일본의 역사왜곡을 논박할 수 있었기에...
그리고 나 자신이 고조선의 웅대함을 조금이나마 가슴에 담을 수 있었기에
이 책은 나중에 내 아이에게도 충분히 권할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