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를 보는 새로운 창 W
MBC W 제작진 지음 / 삼성출판사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겉으로 보는 월드뉴스... 그속에 담긴 삶의 모습
이 책에 나오는 뉴스들은 모두 언젠가 월드뉴스에서 들었던 것들이다.
그 때는 그저 그런 일들이 세계에서 벌어지고 있다는 것만 알고 지냈다.
뉴스에 나오는 사실만으로 우리가 알 수 있는 건 거기까지.
그러나 'W'는 뉴스를 전하는 것이 아니라 뉴스에 숨어있는 사람들을 이야기 한다.
스촨성 대지진으로 인해 죽은 사망자나 부상자의 숫자를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지진속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의 아픔과 고통을 이야기 한다.
영국에 등장한 여러가지 대체 주택을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체 주택이 등장하게 된 영국의 살인적인 집값과
그런 집값을 감당하며 살아야 하는 런던 시민들의 삶에 시선을 던진다.
그래서 죽어있는 월드뉴스가 아니라 사람들이 살아 숨쉬는 삶을 이야기 한다.
뉴스에 대한 가치 판단... 그 기준이 되는 시각의 전환
'세계를 보는 새로운 창'이라는 책의 제목처럼 이 책은 뉴스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전한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대립에서 보여지는 시각의 차이가 가장 좋은 예가 된다.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서방세계의 시각에서 보여지는 뉴스에서는
미국과 기독교의 지지를 얻고 있는 이스라엘이 선한 이미지로 그려진다.
실제로 나와 마눌님의 경우에도 팔레스타인 보다 이스라엘에 심정적인 동조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책에서 들려주는 이야기를 통해서 왜 팔레스타인들이 그렇게 저항하는지 알게 됐다.
평화롭게 살아가던 팔레스타인 사람들에게 어느날 들이닥친 이스라엘이 저지르고 있는 만행들.
그 결과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현재 겪고 있는 고통과 분노.
그들의 입장에서 하마스는 우리로 치면 일제시대 항일무장투쟁단체과 같은 것이다.
이제껏 우리가 보지 못한 시각의 전환이 전해주는 신선한 충격.
그 시각의 차이에 따라 선함과 악함의 판단이 달라지는 사실.
우리가 지금까지 접한 뉴스의 진실이란 과연 무엇인가?
모르던 사실. 모르던 이야기
방송을 보면서도 가장 충격적이었던 '진흙쿠키' 이야기.
'버마'라는 국가명이 '미얀마'로 바뀌게 된 이야기.
우리가 알지 못하는 지구상의 어딘가에는 이런 이야기들도 있었다.
단순이 '버마'가 '미얀마'로 변한 것이 아니라 군부의 독재가 있었다는 것.
그 군부의 독재가 지금껏 지속되고 있으며 그들의 권력욕이 부른 비극이
처참한 자연재해에 대해서도 철저한 통제와 폐쇄화로 이어지고
그들에 대한 저항이 승려들의 투쟁과 그에 대한 무력행사로 이어졌다는 것.
단편적인 월드뉴스가 우리에게 전하지 못한 그 내면의 이야기를 전해주고 있다.
사명의식과 열정... 그들의 기록.
책을 읽으면서 목숨을 걸고 분쟁지역을 찾아다니는 제작진들의 모습에 경의를 표하게 된다.
목숨을 보장하지 못하는 곳으로의 취재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서방언론의 색깔을 입히지 않은 우리만의 시각을 가진 기록을 남기고자 하는
그들의 사명의식과 열정이 좋은 프로그램을 낳았고 그 기록이 한권의 책으로 나왔다.
그들의 노고에 고개를 숙이며 그들의 열정에 부러움을 느낀다.
이 한권의 책이 그들에게 가지는 의미를 생각하면 책을 든 손이 무거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