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고일 1 - 불멸의 사랑
앤드루 데이비드슨 지음, 이옥진 옮김 / 민음사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가고일'
공포 영화에서 폭풍우치는 고성에서 번개가 번쩍일 때 무서운 얼굴을 내밀던 조각품.
책의 제목을 보고 딱 떠오른 이미지는 그것이다. 그런데 사랑이야기라니?
가고일이 얘기할 수 있는 사랑이야기는 무엇이란 말인가? 궁금했다.
이 책을 다 읽고난 지금 '가고일'의 의미는 참 여러가지라는 생각이 든다. 

잘나가던 포르노 배우. 몸으로 먹고 살아가는 '나'에게 다가온 참혹한 사고.
몸으로 먹고 사는 그에게 몸을 빼앗아 가버린 끔직하고 잔인한 사고로 인해
이제 그에게 남은 건 '어렵게 살아나서 다시 죽는 것' 뿐인 상황.
그런 그에게 갑작스런 사고와 마찬가지로 갑작스레 다가온 사랑.
700년을 기다려 왔다는 여인과의 운명적인 만남.
과연 그날의 사고가 만나게 한 그녀가 그에게 전해준 것은 구원인가? 지옥인가? 

여주인공 마리안네의 직업이 '가고일'을 조각하는 것이다.
흔히 생각하는 조각으로 본다면 무생물인 돌에게서 예술을 만들어내는 작업이라 하는데
그녀의 조각들은 신의 명령에 따라 돌에 갇혀있는 '가고일'에게 심장을 돌려주는 작업이다.
그녀의 700년 삶과 절대적 사랑을 생각해 볼 때 그녀에게 '가고일'의 의미는
수백년의 세월의 지나서도 다 씻어내지 못한 속죄의 의미이고 참회의 의미이다.
그녀가 가지고 있다고 믿는 수천개의 심장은 그녀가 속죄해야 할 참회의 숫자이다. 

현대의 의학으로는 '정신분열증'으로 밖에 진단할 수 없는 그녀.
남자주인공인 '나'도 그녀의 이야기를 믿을 수 없지만 그녀의 이야기는 그에게 큰 의미이다.
그녀가 이야기 해주는 슬프고도 아름다운 사랑의 이야기들은
진정한 사랑을 알지 못하고 육체적 행위로만 사랑을 찾던 외로운 그에게
세상 사람들이 말하는 '사랑'이라는 말의 보편적 의미를 깨닫게 해준다.
그녀가 그에게 행하는 헌신적이고 무조건적인 사랑은 그에게 삶의 의미를 되찾게 해준다.
하나 하나 가고일이 완성되어 가면서 점점 더 힘들어하는 그녀를 바라봐야 했던 그에게
가고일은 그녀가 그에게 주는 헌신적인 사랑의 징표이며
그녀의 주장대로라면 그가 700년 전에 그녀에게 주었던 사랑의 약속이다. 

매력적인 이 캐나다 작가는 지독히 슬퍼서 너무도 아름다운 사랑을 이야기 한다.
주인곤 마리안네와 '나'의 700년을 이어 온 사랑의 이야기만이 아니다.
중간 중간 마리안네가 이야기 해주는 시공을 초월하는 사랑의 이야기들.
프란체스코, 비키, 세이, 시귀르드르의 이야기들이 모두 슬프고 그래서 아름답다.
주인공이 마리안네 이기 때문에 그 분량이 좀 더 많았을 뿐 나머지 4개의 이야기들도
각각 하나의 소설로 만들어도 충분할 만큼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이야기들이다.
한편의 소설을 읽었는데도 여러권의 소설을 읽은 느낌이 남는 소설이다. 

단테의 [지옥편]에 대한 패러디라고 하는 소설.
나는 단테의 [지옥편]을 접하지도 않았고 그 내용도 모르기에 비교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 소설에 생생히 묘사되는 지옥의 모습이 단테가 그린 지옥의 모습이라면
그 당시 [지옥편]이 금서가 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이해가 되었다.
너무도 생생하여 책을 읽는 동안 자연스레 얼굴을 찡그리게 만들었던 지옥의 모습.
절대로 가보고 싶지는 않은 곳이다. 역시 착하게 살아야 겠다. 

책 표지의 광고에 너무도 큰 기대를 했기 때문일까?
아니면 중간 중간 나오는 4개의 사랑이야기가 너무도 슬프고 아름다워서일까?
정작 가장 큰 사랑이어야 할 주인공의 사랑이야기가 생각보다 약했던 점이 조금 아쉬웠다.
물론 충분히 슬프고 충분히 아름다운 이야기 이지만 아쉬운 것은 어쩔 수 없다.
밸런스 조절의 실패인가? 4개의 이야기가 비슷한 비중이고 주인공의 이야기가 더 컸었다면 하는 아쉬움.
왠지 뭔가 더 큰 이야기가 남아있는 상태에서 끝나버린 듯한 느낌.... 

사랑은 나이가 먹어도 도무지 알 수 없는 것이다.
수많은 소설을 읽었고 수많은 이야기를 들었으면서도 또 다른 사랑이야기에 솔깃해진다.
사랑이란 참으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고 영원히 마르지 않은 이야기의 샘 같은 것이다.
그래서 새삼 사랑을 이야기할 청춘이 지나버린 이 나이에도
새로운 사랑이야기가 기다려지고 그들의 사랑이야기가 옅보고 싶다.
그런 호기심을 충분히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정말 괜찮은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